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2/29 20:05:08
Name LED_nol_ra
Subject 문제를 풀다..
어렸을적 내가 푸는 문제들은
문제집 속에 있는 문제들과
시험지에 나와있는 문제들 뿐이였다.

그 외에 나를 힘들게 하는 것들이 있었을지언정
그것들이 나에게 풀어나가야 할 문제들로 다가오지는 않았다.

하지만
점점더 내가 내 인생을 책임지고
내 삶을 윤택하게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며
자신의 가치를 높여나가야할

그런 기회와 부담이 많아지면서
일상에서의 조그만 선택하나까지
스스로 풀어나가야할 문제들이 되어간다.

어린 시절 나에게 다가온 문제들은
모든 문제에는 답이 있기 마련이라고 믿게해주었다.
그런 나의 믿음이 오히려 나를 흔들어 놓는다.

내가 선택한 답이 정답이 될 수가 없었기에...
만일 내가 결정한 선택이 옳다면
나는 항상 100점을 받아야만 했기에

하지만 실제 삶속의 문제들은
아무리 잘 해결해도 만점을 받을 수는 없다.
10점짜리 선택과 20점짜리 선택이 존재한다면
주저 없이 20점 짜리로 해결해야만 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미 업질러진 물과 같은 상황 속에 과거를 후회하기 보다는
내가 알지 못하는 상황들이 뒤섞여 나에가 다가오는 선택의 기로에서
그것이 설령 만족할 만한 답이 되지 못하더라도
항상 그 문제앞에 멈춰서서는 안된다.

인생이라는 OMR카드에 정성껏 마킹을 해야만 한다.
그 상황에서 최선이 될 수 있는 선택을...

--------------------------------------------------------------------
실은 이번주 월요일에 제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결과물이 나왔는데

성능이 안좋아서

오늘 아침까지 엄청난 스트레스를 동반한 두통에 시달렸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오늘 아침에 문제점을 찾아서 해결을 했네요.

최고는 아니지만 최선의 방법으로요~^^

*  드디어 글쓰기 버튼이 저에게도 생겼습니다.
  
    정말 정신없다가 간만에 들어왔는데

    글쓰기 버튼이 생겨져 있기에 기쁜 마음에 한번 졸필을 휘둘렀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12/29 20:28
수정 아이콘
시험을 보기위해 공부를 할때는 어려운 수식이나 논리를 따라가면서 이런 생각을 사람들은 왜 했을까.. 이따위 복잡한 생각을 했던 사람들은 정말 특이한 사람들일꺼야 라고 생각했는데... 그 사람들의 입장에 처하고 보면 그 사람들도 맡겨진 문제를 해결하기 고생해서 이런방법을 사용했구나하고 느껴지면서... 더 잘 이해가 된다죠. 마치 고-딩때 이따위 미적분 어디다 써먹어 하다가 대학 전공공부하면서 미적이야말로 전공에서 소금같은 역할을 한다는걸 깨닫는것처럼.. -_-
수행완전정복
05/12/29 23:20
수정 아이콘
확실히 성인분들이 감당하고 있는 '정답이 없는 문제' '최고 점수, 최하점수가 정해지지 안은 문제' 들이 수능 , 모의고사 문제보다 훨씬 어려울거란 생각이 드네요


프로젝트 잘 끝맞추셨다니 축하드려요
My name is J
05/12/29 23:42
수정 아이콘
그래도 놓지 말아야 할것은 '왜'라는 물음입니다.
억울하고 귀찮고 짜증나서-하는 그 '왜'라는 물음에서 시작된 발상의 전환이 조금더 나은- 무언가를 꿈꿀수 있는 젊음의 힘이라고 믿습니다.
정답이 없는 문제를 풀어갈때......가장 최선의 선택도 좋지만..이것을 왜- 풀어야 하는가를 고민하고 싶어집니다.
결론은 먹고살기 위해서-라는 근본적인 것일지라도 말입니다. 으하하하-

아직은 세상에 익숙하게 되고 싶지 않습니다. 조금더 젊고 조금더 어리고 조금더 분노하고 조금더 억울해하고 조금더 미워하고 조금더 떨려하고 싶습니다.
그리고..아직은 그런제가 좋습니다. 귀엽잖습니까?! 으하하하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681 전략가 임요환!!, 전략 파해치기 - 임요환 vs 박성준 [12] 임용한4769 05/12/31 4769 0
19679 전문가와 매니아사이 [26] 호수청년4407 05/12/31 4407 0
19678 추억의 경기(9)-LG IBM 팀리그 패자조 결승 슈마 GO VS 4U 3경기 서지훈 VS 최연성 [25] SKY923972 05/12/31 3972 0
19675 이런 저런 이야기들.. [7] iloveeggo3783 05/12/31 3783 0
19673 꿈을 가져 보신적이 있으십니까? - 청연...비상에 대해. (스포일러주의) [17] My name is J3624 05/12/31 3624 0
19672 카트라이더 리그 좋아하세요? [25] 가루비3865 05/12/31 3865 0
19671 친구의 한마디.(실화....그렇다고 별로 그리 큰건 아닙니다) [12] 히또끼리4223 05/12/31 4223 0
19670 dksrlgy von emzmtmfmffmrl공작님...또 악몽인가요. [17] jyl9kr4768 05/12/31 4768 0
19669 후기리그 우승을 위해선 반드시 극복해야할 각팀들의 약점들... [26] KanRyu5618 05/12/31 5618 0
19668 새로운 세상을 탐험하다. [5] 산적2782 05/12/31 2782 0
19667 아듀! 2005년! [4] 딱따구리3485 05/12/31 3485 0
19665 리뉴의 프로토스 이야기 - FD...그런것도 있었구나; [10] 뉴[SuhmT]3974 05/12/30 3974 0
19663 응원하라 열광하라 의식하지 마라 [5] 낭만토스3528 05/12/30 3528 0
19662 왠지 주목받지 못하는 뮤지션... 고릴라... [24] SEIJI5881 05/12/30 5881 0
19661 진검승부 [43] SAI-MAX4130 05/12/30 4130 0
19660 임요환 미워할수도 없고 좋아할수도 없는 존재.. [33] SSeri5826 05/12/30 5826 0
19659 여러분 그럼 허무한겜, 재밌는겜이 뭐라고생각하세여? [63] JJ4334 05/12/30 4334 0
19658 나이를 먹어간다는 것. 커나간다는 것. [9] Kemicion3490 05/12/30 3490 0
19657 제발... 오늘로...오늘을 마지막으로 끝냈으면 합니다... [35] 스트라포트경6112 05/12/30 6112 0
19653 황제...... 그는 진정 전략가였다..... [104] SKY929515 05/12/30 9515 0
19651 MBC게임의 맵들이 밸런스가 좋은 이유 [105] tigEr4693 05/12/30 4693 0
19650 이번에 지어진 상설 경기장을 보고 [4] 벙커안의마린3630 05/12/30 3630 0
19649 스무살의 공일일, TTL. [9] spin4233 05/12/30 423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