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2/08 18:06:31
Name 종합백과
Subject 저그 게 섯거라! 저그의 3대 비기에 대한 파해법 쳅터1!
저그의 힘!

저그를 새롭게 하는 원천!

저그의 3종 셋트 디파일러, 뮤탈 뭉치기, 힘싸움 노하우

뮤탈 견제는 베슬을 빨리 띄우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여겨졌던, 특히 무수한 터렛도 비웃는 뮤탈 뭉치기로 인해 어려움을 겪던 테란에게 어제 진영수 선수가 하나의 해법을 보여 주었습니다.

의외로 간단하면서도 이제 까지와는 또 한단계 다른 컨트롤을 요하는 파해법, 과연?



러커를 흘린 실수는 치명적이긴 합니다만, 마재윤 선수는 평상시 대로 하려고 했는데, 진영수 선수가 여타 선수와 다른 플레이를 펼친 부분도 있었습니다.

저그가 제2 가스 멀티를 먹고, 그걸 저지하기 위해 뮤탈과 러커로 방어를 해야 하는데, 뮤탈로 병력 줄여주고자 할 때 진영수 선수의 컨트롤을 눈여겨 보셨다면 경기가 단순히 마재윤 선수의 실수로 그르친 것이 아님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보통 테란 선수들은 저그의 뮤탈이 오면 스팀팩 먹이면서 그쪽으로 반응하는 정도의 리액션은 다 보입니다. 그러다 잠시 대열이 흐트러지면 날름 한기씩 끊어 먹는 플레이에 테란의 견제 병력은 그 구성과 출발시점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야 했던 최근 까지의 테란의 어려움이었습니다. 어제 진영수 선수가 보인 것은, 보통의 테란 컨트롤에 더해서 뮤탈 쪽으로 나와 있는 마린을 편대 쪽으로 세심하게 재배치 한 컨트롤 이었습니다.  뮤탈 뭉치기가 강한 이유는, 모인 힘이 산개된 마린들을 피해 적은 데미지를 입으면서 적의 유닛은 1샷 1킬하기 때문입니다. 사거리, 공중군이라는 이동성 등을 종합적으로 이용한 발전된 형태의 공격이죠.

어제 마재윤 선수가 나온 병력을 끊어 먹고자 할 때, 타겟이 예상되는 마린을 편대 쪽으로 뺴는 바람에 뮤탈이 다수의 마린 곁으로 빨려 들어가다가 더 들어가면 피해만 보겠다 싶어 뒤로 뺀 컨트롤이 있었습니다. 초반 모인 뮤탈이 6-7기, 더 많아서 8-9기라 할지라도 어택땅으로 싸우면 테란에 비해 손해를 보게 됩니다. 뮤탈 뭉치기를 못하게 하는 이리데잇을 활용한 방어가 후반의 방법이라면, 뮤탈로 제2멀티 먹으려는 저그를 상대로 테란이 사베 없이도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진영수 선수가 보여준 것입니다.

말은 길지만 의외로 간단합니다.

테란이 저그의 뮤탈 병력이 무서워 멀티를 끊으러 가지 않을 경우 러커와 성큰이 배치된 제2가스는 견제가 사실상 불가능해 집니다. 앞마당 먹고 후반 도모도 좋지만, 보다 세심한 컨트롤이 뒷받침 된다면 비교적 적은 초반 병력으로도 가스 멀티 견제가 가능해 집니다. 테란은 최근 물량형, 완성형 선수가 많고, 멀티 많고 러쉬거리 먼 맵에 특화 되어 있지만, 초반과 후반의 운영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 입니다. 물량에 익숙해진 선수들은 컨트롤이 멀티 태스킹 위주로 알게 모르게 변해 버린 경우가 많습니다. 저 병력 잘살려 싸우면 한방 싸움 이길 것도 같은데 물량에 치중하다 보니 기회를 스스로 날려 버리는 장면을 꽤 자주 보게 되더군요.

진영수 선수가 보여준 단순한 길

테란, 저그전은 컨트롤이 답이다

가 아닐지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포메트
06/12/08 18:09
수정 아이콘
진짜 뮤탈리스크에 휘둘리다보면 시간이 엄청 빠르게 지나가는듯합니다 -_-;; 진영수선수가 보여준 컨트롤이 해법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포로리
06/12/08 18:18
수정 아이콘
하지만 아카디아는 예외라는거
06/12/08 18:49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처럼 극강의 컨트롤로 벙커링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922 프로리그 최종전. 한빛 VS KTF 엔트리. [152] 솔로처6578 06/12/10 6578 0
27921 드디어 후기리그 포스트시즌 팀이 가려졌네요. [9] Leeka4067 06/12/10 4067 0
27919 홍진호선수의 군입대권유는 격려의 또 다른 애정표현이라고 볼수도 있지 않을까요? [35] 김호철6331 06/12/10 6331 0
27917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마흔한번째 이야기> [19] 창이♡4077 06/12/10 4077 0
27915 IEST 2006 진행중입니다. [76] 지포스24758 06/12/10 4758 0
27914 '하이'가 선택한 2006년 인상깊은경기 [15] 하이4871 06/12/10 4871 0
27912 프로리그 12주차 3경기. 팬택 EX VS STX SOUL 엔트리 공개 [252] Leeka6248 06/12/10 6248 0
27911 스타리그 개혁안 5개조 [10] 포로리4078 06/12/10 4078 0
27909 음...오늘새벽에 있었던 아시안게임 펜싱 결승전 보신분 계신지.. [15] 벨리어스4571 06/12/10 4571 0
27908 2006 프로리그 남은 일정들. [14] Leeka4535 06/12/10 4535 0
27907 T1의 선택과 집중에 대한 두가지 견제. [32] 시퐁4704 06/12/10 4704 0
27906 팀밀리 게임을 한번 연습해볼려고 하는데, 같이 하실분 ^^ [5] 히로하루4925 06/12/10 4925 0
27902 VOD다시보기 스포일링 피해가는 방법과 제안. [12] 거울소리4046 06/12/09 4046 0
27901 엠비씨 게임 막나가자는 겁니까? [201] 환타13731 06/12/09 13731 0
27900 이에스포스 첫 구입... 그리고 장재호선수...ktf [17] NeverMind5050 06/12/09 5050 0
27898 2년만의 프로리그 결승 진출을 축하합니다! CJ! [32] SKY925198 06/12/09 5198 0
27896 SK텔레콤 T1 VS 르까프 OZ 엔트리! [206] 솔로처8309 06/12/09 8309 0
27895 프로리그 경우의 수 정리.[간단해졌네요.] [21] Leeka4572 06/12/09 4572 0
27894 [sylent의 B급칼럼] 협회의 ‘음모’ 혹은 ‘음모론’ [154] sylent6222 06/12/09 6222 0
27892 프로리그 12주차 1경기. 온게임넷 VS MBC게임 엔트리. [274] Leeka6424 06/12/09 6424 0
27891 내 맘대로 작성해본 랭킹 [9] 제로벨은내ideal5132 06/12/09 5132 0
27890 오늘의 프로리그 관전 포인트. [12] Leeka4552 06/12/09 4552 0
27887 제왕의 창, 롱기누스 [15] 생존자4338 06/12/09 433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