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7/13 02:15:09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510959642
Subject [일반] <플라이 미 투 더 문> - 가벼운 음모론을 덮는 로코물의 달콤함.
<플라이 미 투 더 문>은 아폴로 11호를 배경으로 한 로맨틱 코미디에 음모론 이야기를 한 스푼 얹은 이야기입니다. 그러니까, '아폴로 11호의 착륙 장면은 가짜다!'를 살짝 비틀어 '가짜 착륙이 준비되고 있었다!'를 한 스푼 얹어 만든 로맨틱 코미디라고 할 수 있겠네요.

<플라이 미 투 더 문>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장점은 배우들이라고 생각해요. 코미디, 드라마, 멜로를 오가면서 두 배우는 능청맞게 연기합니다. 영화의 기본 뼈대는 로맨틱 코미디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그 '로코'물에서 과학 기술, 혹은 '미국적 가치'(?)에 대한 동경과 희망찬 낙관을 스리슬쩍 밀어 넣는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배우 다음으로 이 영화의 장점으로 꼽을 수 있는 건 아무래도 견실한 각본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물론 단점이 없진 않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음모론 한 스푼'이지 그 음모론을 잔뜩 밀어넣은 영화라든지, 혹은 굉장히 새로운 영화라고 하기에는 어정쩡하긴 합니다. 그래서, 모든 이야기와 모든 전개가 조금 (많이) 눈에 보이는 경향이 있어요. 현실과 음모론을 기반으로 한 '픽션'이지만, 뭔가 발칙한 맛을 기대하기에는 아쉬움이 따르는 것도 사실이기도 하구요. 결국 이 영화를 보고, 얼마나 만족하느냐는 로코물이 얼마나 취향에 맞냐를 따져봐야하는 문제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이 영화의 재밌는 지점은 픽션과 논픽션이 교차하면서, 일종의 극중극이 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해요. 슬며시 엿보이는 현실과 창작물의 경계선, 그리고 그 위에서의 소동극이 영화에서 흥미로운 지점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픽션임에도 불구하고) 튀어나오는, 성취에 대한 경외감이 생각보다 좋았습니다. 그러니까, 영화 상에서의 중심 사건이 아폴로 11호의 발사인데, 픽션과 농담이 교차하는 순간임에도 불구하고, 뭔가 뭉클하게 만드는 것이 있다고 해야할까요. 그 지점이 저는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영화는 묘하게 (<마션> 같이) 낙관성과 장밋빛 미래를 약속하는 영화 같이 느껴지기도 하네요.

p.s. 저는 애플 오리지널 필름은 <플라워 킬링 문>, <나폴레옹>에 이어서 3번째인데... 약간 퐁당퐁당이군요.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7/13 02:47
수정 아이콘
Fly Me to the moon

Let me play among the stars

영화를 보려고 생각중인데 나름 괜찮나 보군요
aDayInTheLife
24/07/13 03:11
수정 아이콘
나쁘지 않았어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937 [일반] 큐피드의 이직 [1] 번개맞은씨앗6839 24/07/22 6839 1
101935 [일반] 『둔황』 - 허무 속에서 찾은 역사의 의미 [4] meson5272 24/07/22 5272 9
101934 [일반] 고 김민기 사망으로 생각해본 대한민국 대중가요 간략 흐름 [2] VictoryFood5869 24/07/22 5869 7
101933 [일반] 아침에 출근하며 미친자를 만난 이야기 [39] 수리검9886 24/07/22 9886 54
101932 [일반] 바이든, 당내 사퇴압박에 재선 전격 포기…美 대선구도 급변 [111] Davi4ever18723 24/07/22 18723 0
101930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6] 공기청정기5890 24/07/21 5890 5
101929 [일반] (글말미 약스포)「Despicable Me 4」(슈퍼배드4): 뜨끈한 국밥 한그릇 [1] Nacht5546 24/07/21 5546 3
101927 [일반] [서평]《자아폭발》 - 모든 인류 역사의 비극을 자아 탓으로 돌릴 수 있는가? [5] 계층방정6210 24/07/21 6210 3
101926 [일반] 임진왜란의 2차 진주성 전투, 결사항전이냐 전략적 후퇴냐 @.@ [20] nexon6715 24/07/21 6715 3
101925 [일반] 안락사, 요양원, 고령화, 독거 노인.. 거대한 재앙이 눈앞에 있습니다. [57] 11cm10554 24/07/21 10554 18
101922 [일반] [팝송] 프렙 새 앨범 "The Programme" [6] 김치찌개5962 24/07/21 5962 1
101921 [일반] 질게에 글올린지 1년된 기념 적어보는 인생 최고점 몸상태 [20] 랜슬롯10552 24/07/20 10552 11
101920 [일반] 인간은 언제 태어나는가 [6] 번개맞은씨앗7091 24/07/20 7091 5
101919 [일반] 안락사에 대하여(부제: 요양원 방문 진료를 다녀본 경험을 바탕으로) [64] 아기호랑이10600 24/07/20 10600 30
101918 [일반] 삼성전자. 버즈3 프로 사전 판매 문제 공지 [70] SAS Tony Parker 15185 24/07/19 15185 2
101917 [일반] 윈도우 블루스크린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보안프로그램) [16] 윙스11828 24/07/19 11828 1
101916 [일반] 국내 엔터주들의 연이은 신저가 갱신을 보고 드는 생각 [93] 보리야밥먹자17014 24/07/19 17014 5
101915 [일반] 동성부부 피부양 자격 인정 [78] 13925 24/07/19 13925 90
101914 [일반] 억조 조(兆)에서 파생된 한자들 - 홍수를 피해 달아나다 [6] 계층방정7069 24/07/19 7069 5
101913 [일반] 책 추천 - 왜 국장에 투자하지 말아야 하는지 이유가 궁금하다면 쉽게.. [13] lexial10045 24/07/18 10045 7
101912 [일반] 국장에서 매출 10조, 영업이익 1.4조 알짜 회사에 투자하면? [61] 사람되고싶다13749 24/07/18 13749 3
101911 [일반]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90년대 일본 드라마 오프닝 곡들 [19] 투투피치6486 24/07/18 6486 3
101910 [일반] 티비,영화에서 많이 들었던 추억의 여자 보컬 팝송 [3] Pika486464 24/07/18 646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