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1/22 00:43:06
Name 표절작곡가
Subject [일반] 쇠뿔도 단김에 빼라!!!
오늘은 악기 호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게 쇠뿔이랑 뭔 상관이냐구요??

horn

명사
1.
[C] (양・소 등의) 뿔

<출처 - 네이버 영어사전>

호른이라는 악기는 다른 악기와는 달리 동물의 뿔에서 유래합니다...
뭐 물론 다른 악기들도 동물 부산물로 제작을 했죠...

예를 들어 바이올린 같은 현악기의 현을 양이나 소의 인대 등으로 만들기도 했고,
(지금은 쇠줄을 씁니다..)
바이올린 켤 때 쓰는 활은 말 꼬리를 이용합니다..
(지금도 그러는 걸로...)

뭐 나머지는 거의 나무를 깎아서 만들죠...
그리고 금관 악기는 철을 녹이든 망치로 때려서 펴든 암튼 그걸로 악기를 만들었는데,
호른만큼은 유래가 아예 사슴이나 소 뿔에서 비롯됩니다.

1. 사냥한 사슴을 도축한다. 2. 가죽은 옷 만들고, 고기는 먹고, 뿔은 속을 파낸다.

3. 적당히 잘 파낸다음 악기로 쓴다. 4.사냥 나갈 때 그걸 불어서 팀원들에게 신호를 준다.
5. 1로 돌아가서 다시 시작...

일단 유럽에서 사냥해서 먹고 살던 부족들은 거의 이런 사냥용 신호를 위한 악기는 구비했었고,
당근빠따 그 악기는 사냥해서 얻은 동물의 부산물로 만들었죠...
그래서 호른이라는 악기가 탄생을 합니다...
딱히 누가 유래라고 하기가 힘들죠~~

아마도 말타고 창, 화살 들고 다니며 이렇게 생긴걸 불면서
사냥을 다니거나 옆 동네 농경민들 마을 털거나 (ㅜㅜ) 했겟죠~


스위스 사람들은 이 소리를 얼마나 좋아했던지,,
자기네들이 이런걸 다 만들더라구요...
알프혼(Alphorn)이라고 합니다...


2m 에서 4m까지 다양한 길이를 가지고 있죠..
물론 긴 악기가 더 낮은 음을 소화합니다...
그리고 뿔 길이가 이정도 되는 동물은 없기에
나무로 만들죠~(공룡을 잡으면??? 가만 보자 뿔가진 공룡이....?)

이런 악기는 너무 길어서 실용성이 떨어지죠~
그래서 악기를 돌돌 말아보자~라고 누군가 생각을 했습니다.
동물 뿔이 말려 나오는게 아니기에 이젠 아예 금속으로 가공하죠~
그렇게 나온 작품이 요거~


독일에서 쓰는 우편호른입니다.
우체부가 편지를 배달하면서 마을에 들어설 때 요걸 불면
마을 사람들이 그걸 듣고 쫒아 나오겠죠~?
(택배왔습니다~~~~)

이게 유래가 되어서 독일 우체국 심볼은 다음과 같죠~


금관 악기는 1830년대를 즈음해서 큰 개벽을 맞는데요...
벨기에 출신 아돌프 색스가 색소폰을 고안해 내면서
자기가 색소폰 만들 때 쌓았던 경험치를 당시 금관 악기에 적용시킵니다.
쉽게 말해 각 금관악기에게 버튼을 달아준거죠~
호른 같으면 이렇게 말이죠~



대략 이렇게 생겼습니다.
다른 금관 악기는 버튼을 오른손으로만 누르고 왼손은 그냥 악기를 받쳐주는데만 씁니다.
그런데 호른은 왼손으로 버튼을 누르고 오른손은 취구부 앞에 집어넣죠~

요렇게 말지요~


이 세상엔 오른손잡이가 다수이기 때문에 악기도 마찬가지로 오른손으로 더 정교한 컨트롤을 합니다.
야구도 우투 우타가 많듯이
피아노 - 왼손 낮은음, 오른손 높은음(당연히 높은 음의 움직임이 더 많음)
바이올린,기타 등등의 현악기 - 왼손 지판, 오른손 활 혹은 피크(지판 컨트롤 보다 활 컨트롤이 넘사벽으로 더 어려움)
트럼펫, 트럼본 등등 - 오른손으로 버튼이나 슬라이드를 컨트롤함.
호른 - 왼손 버튼 컨트롤, 오른손 취구부 컨트롤!!!
오른손의 취구부 컨트롤에 따라 음색이 아예 바뀌거나 심지어는 음 높낮이도 바뀌기도 합니다.
그래서 호른이라는 악기 자체가 진입장벽이 높습니다.

자, 오른 두 곡을 듣고 가시겠습니다.
하나는 알프호른 연주를 담은 동영상이구요.
다른 하나는 호른 연주가 돋보이는 클래식곡입니다.

푸근한 소리가 그냥~~~크크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틸 오일렌슈피겔의 유쾌한 장난이라는 곡입니다.
55초 부터 나옵니다..
요 호른 선율은 호른 전공생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하죠~
리듬도 어렵기도 하지만, 음역대가 딱 호른의 최고 음역에서 최저 음역까지 전부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참고로 요 선율은 이 곡의 주인공인 틸의 선율입니다.
이 선율이 이 곡 전체에 나오면서 전개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크크
우리 모두 쇠뿔을 단김에 뺍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케르베로스
15/11/22 01:37
수정 아이콘
헐 나름 악기에 관심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호른에 손을 넣는다는건 오늘 처음 알았네요....덜덜
근성러너
15/11/22 03:09
수정 아이콘
재밌게 잘보고갑니다~~

다음글은언제인가요? 흐흐
쎌라비
15/11/22 08:50
수정 아이콘
호오른 소오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191 [일반] 송유근씨 논문을 철회 한다는 저널의 공식입장이 발표되었습니다. [141] 곧내려갈게요19732 15/11/25 19732 1
62188 [일반] 제2차 글 써서 남 주기 대회가 자정부터 시작됩니다. OrBef4090 15/11/24 4090 0
62187 [일반] 월간윤종신/나인뮤지스/바버렛츠의 MV와 에이프릴/업텐션/길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9] 효연덕후세우실4658 15/11/24 4658 0
62186 [일반] 어허 무섭네요. 터키군이 러시아 전투기를 격추했다고 합니다. [38] 페마나도15600 15/11/24 15600 1
62185 [일반] [역사] 기독교는 어떻게 로마제국의 국교가 되었나? [20] aurelius10633 15/11/24 10633 13
62184 [일반] 김구라씨가 패기넘치던 시절 [10] kien12338 15/11/24 12338 2
62183 [일반] [프로야구] 해외 포스팅신청은 과연 도전인가? 아닌가? [46] HesBlUe8920 15/11/24 8920 1
62182 [일반] “지지한다" 끝내 말하지 않은 김영삼-이회창 관계 [36] 카우카우파이넌스7986 15/11/24 7986 2
62181 [일반] 소위 '복면금지법' [84] 카우카우파이넌스10933 15/11/24 10933 6
62180 [일반] 달달한 사랑 노래 모음 [19] *alchemist*14764 15/11/24 14764 2
62179 [일반] 언론통제?? [23] 위르겐 클롭6584 15/11/24 6584 0
62178 [일반] 이번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은 누가 받아도 재밌겠네요. [52] Jace Beleren9404 15/11/24 9404 0
62177 [일반] [집밥] 김치말이 국수(Feat. 오이소박이) [20] 종이사진5444 15/11/24 5444 0
62176 [일반] 수능 국어 A형 19번 문제 오류논란 (그림파일 수정) [137] 삭제됨11675 15/11/24 11675 0
62175 [일반] CoinVault 랜섬웨어 개발자 검거 및 복호화 키 확보 [13] Madmon9861 15/11/24 9861 4
62173 [일반] 피교동해 - 공세 [1] 후추통5486 15/11/24 5486 2
62172 [일반]  "11.14 불법폭력행위, 법치부정·정부 무력화 의도" [58] 동지8215 15/11/24 8215 5
62171 [일반] [야구] 손아섭 포스팅 액수 제시한 구단 없음 [193] 만일....1000118042 15/11/24 18042 3
62170 [일반] 내부자들(2015) - 연기만 남았다 [40] 리니시아11863 15/11/24 11863 0
62169 [일반] [야구] 넥센, 피어밴드 재계약 / 밴 헤켄 일본 진출 [35] The xian8300 15/11/23 8300 1
62167 [일반] 파리의 테러범들은 어떻게 무기를 구했나? [16] aurelius9472 15/11/23 9472 3
62166 [일반] 현재 아이폰용 티맵에 버그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18] 부폰8872 15/11/23 8872 0
62165 [일반] [야구] 2015 2차드래프트 명단작성이 완료됐습니다. [24] 이홍기9819 15/11/23 981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