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12/21 10:13:10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1.31 MB), Download : 82
Subject [일반] 아시아에서 재산이 가장 많은 3대 이상 사업을 이어가는 가문 Top10


아시아에서 재산이 가장 많은 3대 이상 사업을 이어가는 가문 Top10..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미국 포브스가 2015년 10월 7일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1위는 대한민국의 고 이병철 가 - 삼성그룹입니다
2015년 9월 기준 가족 재산이 266억 달러(30조 8,959억원)입니다
1938년 3월에 설립되었군요
2위는 홍콩의 리자오지 가 - 헝지(헨더슨)부동산 그릅입니다
2015년 9월 기준 가족 재산이 241억 달러(27조 9,922억원)입니다
최초 설립은 1973년입니다
3위는 인도의 암바니 가 - 릴라이언스 그룹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이종격투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12/21 10:54
수정 아이콘
펄-럭
페마나도
15/12/21 10:58
수정 아이콘
현대가 못 낀다는게 신기하네요.
솔로11년차
15/12/21 11:01
수정 아이콘
아직 3대째가 아니라서겠죠?
홍승식
15/12/21 11:10
수정 아이콘
정주영-정몽구-정의선 이러면 3대가 되지 않나요?
솔로11년차
15/12/21 11:12
수정 아이콘
아직은 정몽구가 전면에 있다는 의미겠죠.
3대로 인정됐는데 규모가 안되는 걸까나요?
페마나도
15/12/21 11:19
수정 아이콘
규모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
저기 설명 보면 3대째가 사업에만 참여하면 되는 것으로 나오니까요.
범현대그룹이 10위안에 못 들어간다는게 그런데 의외긴 하네요.
삼성전자가 흥하기 전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었는데 말이죠.
갈색이야기
15/12/21 14:14
수정 아이콘
'그룹' 이 아니라 '가족 재산' 이니까 그렇겠죠.

삼성의 경우도 '이병철(古)-이건희-이재용' 이 보유한 재산만 표기된 것 같습니다.
15/12/21 17:06
수정 아이콘
본문 상하단에 보시면 적혀있는데요.
가문의 전체 자산이나 그룹의 전체 자산이 아니라 포브스 집계 개인 자산이 10억 달러(약 1조 원)이상인 인물들의 합계만 발표했습니다.
개인 자산이 10억 달러 미만인 인물은 가문 자산에 포함이 안 되었습니다.
몽키매직
15/12/21 11:31
수정 아이콘
삼성 정도 되는 기업이 아직 세습이라는게 사실 신기...
노련한곰탱이
15/12/21 11:36
수정 아이콘
이병철 가문으로 따지면 방계도 어마어마한지라..
독수리가아니라닭
15/12/21 11:47
수정 아이콘
역시 부동산이 짱이군요
퀴로스
15/12/21 14:15
수정 아이콘
싱가폴의 리콴요 가문은 아직 3대가 안되나 보네요.
거기도 상당한 재력일텐데.
다빈치
15/12/21 18:47
수정 아이콘
리콴유 가문은 사업이 아니라 정치인 집안이라..

정치인 집안이 여기 들어가면 아랍에 왕족들이 1~10위까지 다 하고 있겠죠 덜덜
Love Fool
15/12/21 16:56
수정 아이콘
현대가가 20조가 안되나요?;;
15/12/21 17:04
수정 아이콘
그룹 전체의 자산이 아니고, 가문에서 자산이 10억 달러(약 1조 원) 이상인 인물들의 합계만 포함했습니다.
개인 자산이 10억 달러 미만인 인물은 집계에 포함이 안 되었습니다.
Love Fool
15/12/21 17:20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개인자산 10억이상 인물들의 합 현대는 워낙 분열됬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703 [일반] 치킨매니아 XX점 컴플레인 녹취록 (욕설수정) [97] 누구도날막지모텔19978 15/12/22 19978 0
62701 [일반] 냉장고를 부탁행.. [43] 켈로그김12865 15/12/22 12865 20
62700 [일반] 안철수에 관한 유시민 분석에 수긍이 가네요 [377] 삭제됨22379 15/12/22 22379 6
62698 [일반] 대항해시대는 당대 최고의 국제사업이었더군요 [27] aurelius9585 15/12/22 9585 3
62697 [일반] 전북익산에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35] Ambael10055 15/12/22 10055 0
62696 [일반] 과학이 발전하면 대다수가 행복한 사회가 가능은 한가요? [42] will6407 15/12/22 6407 0
62695 [일반] 역대 NBA 플레이오프 통산 득점 TOP 10 [12] 김치찌개5985 15/12/22 5985 0
62694 [일반] 누적 관객 수가 가장 많은 40세 이하 국내 영화배우 Top10 [14] 김치찌개5798 15/12/22 5798 1
62693 [일반] 전 세계에서 자동차가 가장 많은 국가 Top10 [6] 김치찌개5494 15/12/22 5494 1
62692 [일반] 취업 준비 하다가 힘 빠지는 소식들이 자꾸 들린다(뉴스有) [35] 뀨뀨9165 15/12/22 9165 0
62691 [일반] 쉑쉑버거 2016년 한국상륙 [72] becker14375 15/12/22 14375 0
62690 [일반] [K리그 클래식] 이종호가 전북으로 옵니다. [35] 잠잘까6214 15/12/21 6214 0
62689 [일반] pgr21 회원분들이 꼽으시는 올해의 영화는? [116] 자전거도둑9327 15/12/21 9327 3
62688 [일반] 박원순 시장 정치감각은 믿어볼 만 하죠 [82] 삭제됨10290 15/12/21 10290 15
62687 [일반] 크레이터와 진짜 공룡 이야기... [41] Neanderthal10756 15/12/21 10756 22
62686 [일반] [재능기부] 게릴라로 진행합니다. 12/27 오전 09:30 [23] 동네형6538 15/12/21 6538 4
62685 [일반] 그나마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하는 시점이 아닐까 합니다 [90] 별이돌이8753 15/12/21 8753 4
62684 [일반] 문안박 대신 문이박... 문재인, 이재명, 박원순 토크콘서트 요약영상 [11] 에버그린8773 15/12/21 8773 3
62683 [일반] 지인(?)의 딸 이야기를 듣고 난 후의 몇 가지 생각... [13] 로빈10497 15/12/21 10497 59
62682 [일반] [야구] 2016 넥센은 어떻게될까? [27] 이홍기7205 15/12/21 7205 0
62681 [일반] [영화] 내부자들 - 망한 결말 (스포있음) [29] 에버그린13271 15/12/21 13271 4
62680 [일반] 영국이 EU를 탈퇴할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군요 [8] 군디츠마라8078 15/12/21 8078 0
62679 [일반] (스포살짝) 스타워즈 관련 짤막한 감상 후기. [75] 세인트6221 15/12/21 622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