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1/10 20:13:12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1.43 MB), Download : 78
Subject [일반] 우리나라에서 일일 최대 적설량이 가장 많았던 지역 Top10


우리나라에서 일일 최대 적설량이 가장 많았던 지역 Top10..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기상청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6위인 강원도 속초시를 제외하고 모두 울릉도,대관령이네요
울릉도가 5번,대관령이 4번있네요
1위~3위까지 울릉도입니다
일일 최대 적설량이 각각 150.9cm,118.4cm,94.1cm입니다
1위 울릉도 일자는 1955년 1월20일입니다
울릉도,대관령 지역을 제외한 일일 최대 적설량은 역시 강원도의 위엄이네요
1위는 강원도 속초시입니다
일일 최대 적설량이 89.6cm입니다 일자는 1969년 2월20일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이종격투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트롤러
16/01/10 20:17
수정 아이콘
울릉도와 대관령 독과점이네요.
존 맥러플린
16/01/10 20:18
수정 아이콘
울릉도에도 혹시 군부대가 있나요?
로열젤리파이리
16/01/10 21:41
수정 아이콘
네 공군하고 해군 있습니다.
오렌지나무
16/01/10 21:42
수정 아이콘
해군 공군 있어요
바카스
16/01/10 22:39
수정 아이콘
제설 여기가 갑이었군요 -_-
16/01/11 13:56
수정 아이콘
류수정
16/01/10 20:47
수정 아이콘
2011년 2월에.. 2박3일 친구들이랑 놀라갔을때네요
첫날 밤 늦게 도착했을때 빼고 밖에 못나갔다가 집에갈려고 눈 퍼내고 집에 갔던 기억 나네요 ㅜㅜ
MakeItCount
16/01/10 21:05
수정 아이콘
강릉 8군단 포병 출신입니다. 5월에도 이따금씩 눈이와서 신기했던 기억이나네요. :)
헤나투
16/01/10 21:19
수정 아이콘
울릉도 대관령이 없는곳에서는 속초가...
아지르
16/01/10 23:50
수정 아이콘
강원도 동해시에서 군생활한 10년 8월군번인데요

이등병때 선임들이 저한테 야 작년에 눈이 허리까지 왔었어 이거 치우려면 어쩌고저쩌고 하길래

아니 무슨 눈이 허리까지 오나 구라도 적당히 쳐야지 크크

라고 생각했었는데... 그땐 몰랐습니다. 눈이 가슴까지 올줄은
알카즈네
16/01/11 02:43
수정 아이콘
10년 겨울 기억나네요. 당시 정말 가슴께까지 눈이 와서 버스정류장 지붕 파손되고 곳곳에 길만드느라 쌓인 눈이 키를 넘겼어요
김재경
16/01/11 00:54
수정 아이콘
갓초!
제가살던동내이자..
6등을 눈으로봤던;;
괄하이드
16/01/11 13:0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2010년 1월 대폭설의 기억이 생생해서 순위에 하나 있을줄 알았는데 쪽도 못쓰네요..
그래도 마지막에 한번 언급되긴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065 [일반] [경제학] 한 경제학자의 극적인 변화 [32] 낭만토토로8187 16/01/12 8187 0
63063 [일반] 아니 그러니까. 왜 벌점줘요? [79] 피로링11129 16/01/12 11129 9
63062 [일반] [응팔] 굿바이 첫사랑, 그래도 남편은 류준열이 아닐까? [79] DIOS8014 16/01/12 8014 3
63061 [일반] 운영자 사퇴 요구를 분탕질이나 물타기로 치부해서만은 안됩니다. [54] 귀연태연6068 16/01/12 6068 9
63060 [일반] LG화학 에 대해 (+동부팜한농 인수) [17] 흰둥8522 16/01/12 8522 3
63059 [일반] JTBC 손석희 뉴스룸 한상진 인터뷰 [42] 에버그린9390 16/01/12 9390 1
63057 [일반] 창작물보다 극적인 현실 [10] 연환전신각5226 16/01/12 5226 1
63056 [일반] 피곤한 피지알 [146] Zergman[yG]9949 16/01/12 9949 7
63055 [일반] 옴부즈맨 제도에 대한 논의 발제입니다. [75] OrBef6891 16/01/12 6891 5
63054 [일반] (clover, OrBef 공동) 사과드립니다. [161] clover19725 16/01/12 19725 38
63053 [일반] [MLB] 오승환 세인트루이스와 1+1년 계약 확정 [17] 렌 브라이트8192 16/01/12 8192 0
63052 [일반] 왜 사람들은 운영진에 대해서 화를 내는가? [4] EatDrinkSleep4547 16/01/12 4547 6
63051 [일반] '잘못'입니다. '실수'가 아닙니다. [160] The xian14930 16/01/12 14930 179
63050 [일반] 오늘 <육룡이나르샤>를 보고 [69] ohmylove7353 16/01/12 7353 0
63049 [일반] 시스템에 관한 소고 [5] 이치죠 호타루3693 16/01/12 3693 2
63048 [일반] [헤이트풀8] 여전히 자신의 매력을 보여주는 영화(스포있음) [5] Cherish3667 16/01/11 3667 0
63047 [일반] <삼국지> 군벌시대에서 삼국정립으로. [11] 靑龍5407 16/01/11 5407 5
63046 [일반] 신발 브랜드 '스베누' 대표, 수백억대 사기혐의로 피소 [51] 피아니시모13472 16/01/11 13472 4
63045 [일반] 걸그룹 카라(KARA) 해체 임박 [61] 에버그린13541 16/01/11 13541 0
63044 [일반]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2007)_내가 용서를 안했는데 어떻게 먼저 용서 할 수가있어? [5] 리니시아4452 16/01/11 4452 7
63043 [일반] 마라톤계의 홍진호... [13] Neanderthal5852 16/01/11 5852 0
63042 [일반] 운영진, 피지알러. 그리고 피지알 [104] 주환5942 16/01/11 5942 6
63041 [일반] 규칙과 시스템, PGR의 나아갈 방향. [59] Jace Beleren6744 16/01/11 6744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