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9/13 04:28:26
Name 조현
File #1 1111.jpg (65.1 KB), Download : 41
출처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44011427
Subject [유머] 처참한 인도의 자수성가 비율



팩트확인은 안됬습니당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9/13 04:30
수정 아이콘
중국? 일본???
19/09/13 04:35
수정 아이콘
어디서 어떻게 조사한 걸까요? 그리고 자수성가의 기준은 뭔지??
19/09/13 04:42
수정 아이콘
https://newstapa.org/article/EMK-R
뉴스타파가 포브스 자료를 가지고 분석한 건데 국가별 30대 부자를 대상으로 재산을 상속받았는지 여부를 따졌나봅니다.
19/09/13 04:47
수정 아이콘
30대면 최상위 30명만 봤다는 뜻인 거 같은데, 꼭 그렇게까지 성공하지 않아도 자수성가라고 할수 있는 사람들이 많기에 별로 공감가는 자료는 아니네요.
Proactive
19/09/13 04:52
수정 아이콘
아니요... 30-39살 사이에 부자요.
미네기시 미나미
19/09/13 05:00
수정 아이콘
최상위 30명이 맞는데요..
19/09/13 05:04
수정 아이콘
최상위 30명이 아니면 저렇게 퍼센트가 깔끔하게 나올리가 없죠.
저도 초코님 말씀이 공감되네요. 좀 악의적인 자료가 아닌가 싶습니다.
필리핀 같은 경우는 절대 우리나라보다 계층이동이 쉽다고 말할 수는 없는 나라일텐데..
Proactive
19/09/13 11:12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10대니 30대니해서 대충 봐서 잘못인지했군요.
19/09/13 05:29
수정 아이콘
그럼 더 잘못된 자료죠. 자수성가로 나이 40전에 편법없이 성공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그리고 만약 그렇다 하더라도 어디까지를 성공으로 분류할지도 애매할테고요.
김솔로_35년산
19/09/13 09:23
수정 아이콘
얼마나 있긴요? 다른 나라는 많잖아요.크크
루트에리노
19/09/13 10:59
수정 아이콘
없어요
미국도 부의 대물림이 심각한걸로 많이 조명받고 있어요
19/09/13 11:57
수정 아이콘
30명 중 몇명이길래 많은가요? 그리고 뭐가 좋다고 그렇게 실실 웃으시나요?
김솔로_35년산
19/09/13 12:38
수정 아이콘
중국 29명 / 영국 24명 기타 등등이요. 충분히 많잖아요?
왜 웃냐고 물어보면 시비 거는게 아니라 가볍게 이야기 나누려고 웃었는데 그것도 맘에 안 드세요?
19/09/13 04:44
수정 아이콘
한국이 더 낮은게;;
10년째도피중
19/09/13 05:41
수정 아이콘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한 자료.
총체적 난국이네요. 자료의 정확성은 둘째치고 일단 '자수성가'란 무엇인가?라는 기준부터가 애매모호 하잖아요.
저 기준에서 빌 게이츠는 자수성가일까요, 아닐까요. 아마 자수성가겠죠? "빌 게이츠도 자기집 차고에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라고들 하니 말이지요.
부모로부터 기업주식을 물려받은 자들에 비하면 충분히 자수성가 맞죠.

그렇지만 그런 기준이 되면 그게 소시민들과는 무슨 상관이 있는거죠?
19/09/13 11:58
수정 아이콘
가난한 집안에서 악착같이 돈을 모아 서민집안으로, 서민집안에서 어떻게든 교육에 올인해서 전문직이 되서 중산층 집안으로, 중산층집안에서 빌게이츠처럼 상류층으로.
10년째도피중
19/09/13 17:16
수정 아이콘
자수성가라는 단어에 대한 Vokoban님의 기준은 충분히 합리적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게 보편적 기준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적어도 저 자료의 자수성가 수치는 그 기준을 잘 반영할 것 같지 않네요.
세오유즈키
19/09/13 05:50
수정 아이콘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44011670
링크 들어가보시면 알겠지만 저거 기준이 10억불입니다.10억불로 새로이 진입할려먼 산업군에서 대박이 터져야하는데 지금 우리나라보면 새로 10억불에 진입할만큼 성공한 산업이나 사업이 없죠.
이 자료로 자수성가를 따지는 건 의미 없디고 생각합니다.
19/09/13 06:43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뭐 그냥 선동용 자료네요 크크
Notorious
19/09/13 07:13
수정 아이콘
가짜뉴스네요
19/09/13 07:4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계층 이동은 선진국보단 활발한 편인데 이건 너무..
메가트롤
19/09/13 07:58
수정 아이콘
환구시보 어서오고
불같은 강속구
19/09/13 08:25
수정 아이콘
겨우 30위까지만을 놓고 평가하는건 분명히 문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자수성가의 기준이나 , 30위라는 숫자에 얽매이지 말고 그냥 '상속재산 없이 국가 최상위 경제력을 가질 수 있는가' 만 생각해 볼 수도 있는거죠.
우리보다 훨씬 양극화가 극심하다고 알고 있는 국가, 사회적 신분 제도의 찌꺼기가 여전히 남아있는 국가 보다도 더 낮은 수치라는건 시사하는 바가 있지 않을까요.
제가 언뜻 생각하기엔 3000위정도면 모를까 300위로 잡아도 한국 순위가 그닥 올라가진 않을 것 같네요.
19/09/13 08: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너무 악의적인자료죠. 자수성가 기준이 먼가요? 1조라 참 자수성가 어렵겠다.
안그래도 깔꺼 많은데 이런식으로 선동 자료 만들어서 까는 언론이 젤 악질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정도면 개인의 노력으로 계층이동이 가능한 나라죠.
19/09/13 11:59
수정 아이콘
본문통계와 달리 계층이동이동이 가능한 나라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통계를 제시하셔야 하는게 기본아닐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3084 [유머] 오늘로 예정됐던 그 현피 결과.jpg [13] TWICE쯔위12150 19/09/13 12150
363083 [유머] 슈퍼태풍이 대만에 남기고 간 것.jpg [10] TWICE쯔위12155 19/09/13 12155
363082 [유머] 노래방 화면 대참사.jpg [5] TWICE쯔위13119 19/09/13 13119
363081 [게임] 김성회의 와우클래식 분석 [31] 키류12970 19/09/13 12970
363080 [유머] 보노보노 끝판왕 [2] 첸 스톰스타우트8614 19/09/13 8614
363079 [유머] 아이폰.. 갓케이스..등장..jpg [8] 삭제됨11231 19/09/13 11231
363078 [동물&귀욤] 손쉽게 하는 타임 슬라이스 촬영 기법.gif [6] 홍승식7863 19/09/13 7863
363077 [유머] 일본 방송 근황.news [35] 삭제됨13492 19/09/13 13492
363076 [방송] 친위대 대령의 유대인 판별법 [16] Croove13268 19/09/13 13268
363075 [유머] 김응수 차기영화 댓글근황 [12] 드문9956 19/09/13 9956
363074 [유머] 지나가던 버스 기사 [214] 길갈31447 19/09/13 31447
363073 [LOL] ??? : 롤드컵 버전 패치에서는 별다른 변화 없을 것 [27] 스위치 메이커10516 19/09/13 10516
363072 [유머] 내가 어떻게 여기까지 왔느냐 [7] 영혼9522 19/09/13 9522
363071 [기타] 타인을 존중 일단 존중 지금 존중 스스로 존중 [25] 정글러(물리)13298 19/09/13 13298
363070 [유머] 미래에서 온 자신 [3] 파랑파랑9956 19/09/13 9956
363069 [유머] 추석에 사촌형이 놀아줌 [7] 파랑파랑11477 19/09/13 11477
363068 [연예인] 내가 열일곱때 무사 생활하면서 침략생활도 시작했다 [16] 아지르11816 19/09/13 11816
363067 [유머] 근본있는 집안 추석 풍경.txt [52] Synopsis13692 19/09/13 13692
363066 [유머] 버거킹 근황 [30] swear13449 19/09/13 13449
363065 [게임] 2분기 국내 e스포츠 시청시간 [35] DewRas10404 19/09/13 10404
363064 [동물&귀욤] 명절의 조카몬을 물리치는 갓냥이.jpg [8] 홍승식8871 19/09/13 8871
363063 [기타] 보자기 케이크.jpg [6] 살인자들의섬10564 19/09/13 10564
363062 [LOL] 롤드컵의 남자 - 2013 페이커 #2 [6] 소야테8508 19/09/13 85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