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9/20 23:31:14
Name 가난
File #1 nouvellevague_20190920_231009_000.jpg (475.0 KB), Download : 43
File #2 nouvellevague_20190920_231009_001.jpg (683.3 KB), Download : 20
출처 http://m.dcinside.com/board/nouvellevague/398751
Link #2 누밸바그
Subject [연예인] 기생충 근황




0919 현재 프랑스 관람 1,647,283명 장기상영 중.

피아니스트(2002)는 기록에 따라 누생충보다 관객수가 적거나 많고, 화씨 911(2004) 빼면 21세기 프랑스 최고기록.

칸도 요즘 북미 기생충 조짐 심상찮은 거 눈치채고 흥행이 마음에 들었나봄. 불어, 영어로 축하 트윗 올리고 기사도 많이 쏟아냄

ㅡㅡㅡㅡㅡ
165만은 올해 프랑스 개봉작중 전체 20위이고, 100만 관객을 넘긴 영화 중 유일하게 비프랑스/비할리우드 작품이라 함. 프랑스는 인구 대비 한국만큼 시장은 크지 않고 독점이 심하지 않은 듯
ㅡㅡㅡㅡㅡ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hilologist
19/09/20 23:33
수정 아이콘
1,647 mil이래서 전세계 16억이 봤다고???? 라고 이해를...
도라지
19/09/20 23:46
수정 아이콘
어떤 지역은 점과 쉼표를 반대로 쓰더라구요.
왜 그런지는 잘...
19/09/20 23:58
수정 아이콘
원래 유럽대륙에서는 점과 쉼표가 거꾸로라고 하더군요. 그래서인지 제가 알기로는 독일에서도 소수점에 반점을 쓰고, 천단위는 쉼표로 찍습니다. (예: $12.345,67 는 만 이천 삼백사십오 점 육칠 달라.) 그런데 '대륙'이라고 했듯이, 영국은 그걸 거꾸로 쓰고 있었고 그게 또 세계표준이 되어버린지라...

https://en.wikipedia.org/wiki/Decimal_separator#/media/File:DecimalSeparator.svg
여기 위키피디아에 지도가 있습니다. 영국식(?)을 우리나라도 쓰고 있다는 식으로 색이 칠해져버렸군요.

여기서부턴 TMI인데요.

https://en.wikipedia.org/wiki/Long_and_short_scales#/media/File:EScalas_corta_y_larga.svg
유럽대륙에서는 영국식과 '또' 다르게 큰 수를 세기 때문에 이것도 주의하셔야합니다.

https://image.slidesharecdn.com/billionvsmilliarden-140929122853-phpapp01/95/billion-vs-milliard-en-13-638.jpg
(참고사진을 보시면 "따옴표"마저, 유럽식으로 적혀있습니다.)
다행히도 이번 트윗은 백만을 안 넘어가긴 했는데, 백만이 넘어가면 숫자를 그대로 영어랑 똑같이 읽으면 점, 쉼표와 함께 아주 이상한 일이 일어나버립니다. 흑 스페인어 배우는 입장에서 숫자 다른거 너무 싫어요.
매일푸쉬업
19/09/20 23:38
수정 아이콘
내년초 아카데미에서 국제장편영화상(=외국어영화상) 수상, 3대본상(작품상,감독상,각본상) 중 하나이상 노미네이트 되는 것까진 확정적인 분위기이고

미국영화가 아니라 작품상, 감독상 수상은 힘들어보이는데 궁금한게 [각본상] 정도는 수상가능 할 지 궁금하네요.
뭐 안 된다고 해도 국제상 입상, 본상 노미 이정도만 해도 만족스럽지만요.
vallalla
19/09/20 23:40
수정 아이콘
와 그래도 예술영화에 비서구권 영화인데도 상당히 흥행했네요.
수분크림
19/09/20 23:44
수정 아이콘
만나본 프랑스인마다 미국 싫어하고 까던 경험(악의축,교양이 부족한 무식한 나라 취급)이 있는데 화씨 911이 21세기 최고 흥행작인거 보면 프랑스인들은 미국 별로 좋아하지는 않는 것 같네요.
그대의품에Dive
19/09/20 23:49
수정 아이콘
영어쓰는 나라는 다 싫어하는 걸 지도....?
그린우드
19/09/20 23:44
수정 아이콘
원래 봉주노 영화가 대중들한테 많이 어필하는데 한국말고도 미국프랑스에서도 그런가보군요
매일푸쉬업
19/09/20 23:47
수정 아이콘
미국은 10월 11일 개봉입니다. 흥행도 하고 아카데미 수상도 했으면 좋겠네요.
꿀꿀꾸잉
19/09/20 23:55
수정 아이콘
한국적인 요소가 강하다고 생각했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평등에 대한 정서는 만국 공통인가보군요.. 뭔가 씁슬한..
MissNothing
19/09/20 23:58
수정 아이콘
대만 카스테라 같은게 좀 공감을 방해하지 않을까 했는데... 제가 어리석었습니다.
19/09/21 00:01
수정 아이콘
도대체 프랑스에서 어떤 이유로 이렇게 거대한 흥행을 하는 것일까요? 정말 놀랍고 경이롭네요!
저는 이 영화를 보면서, 한국인이 만들었다는 것이, 너무나도 드러나는 영화이고, 또 이 영화가 대단한 이유가 있다면 한국인이라면 응당 가지고 있을 삶의 고민, 문제점, 호기심을 50가지 이상을 답해주는 너무나도 지역적인 영화여서 대단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도대체 프랑스인들은 이 영화 안에서 무엇을 발견했던 것일까요? 나중에 한번 글이 나오기 시작하면 읽어볼 생각에 너무나도 두근두근거립니다.. 저야 프랑스어를 못해서 아무래도 영어 중역으로 떠뜸떠뜸 읽어보겠지만요...
잰지흔
19/09/21 00:05
수정 아이콘
결국 한국만의 얘기는 아닌거죠
19/09/21 00:34
수정 아이콘
프랑스의 어떤 지역성이 이 한국산 거울에서 보였는지 알고 싶을 뿐입니다 흐흐흐... 문학작품을 거울로 생각하면서 분석한다는건 참 재미있는 작업이란 말이지요!
19/09/21 05:58
수정 아이콘
프랑스는 아예 1구역 2구역 3구역 등등
구역으로 지정해서
구역 편차가 심합니다
우리보다 더일지도
특히 냄새부분은 더 잘 받아들일것 같아요
영수오빠야
19/09/21 17:52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몰라도 지하철냄새는 프랑스인들이 제일 공감할 듯 싶네요.
강미나
19/09/21 00:54
수정 아이콘
루이스 부뉴엘 영화 한 번 보세요.
짱짱걸제시카
19/09/21 00:32
수정 아이콘
뭔가 봉준호 감독이 기생충으로 울나라 원탑 감독으로 올라서는 분위기네요.
파랑파랑
19/09/21 00:35
수정 아이콘
갓생충
우리고장해남
19/09/21 02:30
수정 아이콘
6월말에 프랑스 영화관에서 기생충 봤었는데 아직도 상영중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3780 [유머] 어릴적.. 장래희망.jpg [8] 삭제됨8341 19/09/21 8341
363779 [기타] 사고방식 자체가 우리와는 다릅니다 [40] 톰슨가젤연탄구이12540 19/09/21 12540
363778 [게임] 종목을 대표하는 선수의 마음가짐 [12] 삼겹살에김치8559 19/09/21 8559
363777 [기타] 태풍이 아직 상륙도 안한 미야자키 상황.gif [13] 삭제됨10841 19/09/21 10841
363776 [유머] "손님은 왕이다"란 말을 만든 인물 [7] swear10242 19/09/21 10242
363775 [기타] 개인정보보호법위반 [41] 가난9900 19/09/21 9900
363774 [LOL] 2017 롤드컵 결승 3세트 [37] Vesta10448 19/09/21 10448
363773 [유머] 여자친구의 개(+후기) [34] 가난11526 19/09/21 11526
363772 [유머] 남자친구의 개 [7] 가난8676 19/09/21 8676
363771 [기타] 군무 레전드 [12] swear8316 19/09/21 8316
363770 [유머] [WOW] 클래식 vs 격아 [8] 랜슬롯9264 19/09/21 9264
363769 [유머] 너무 굶주린 여성의 하소연 [17] 옥토패스11097 19/09/21 11097
363768 [LOL] 데프트의 큰 무대 점멸 사용 [21] Leeka9362 19/09/21 9362
363767 [LOL] 2017 롤드컵 결승 2세트 [23] Vesta8501 19/09/21 8501
363766 [유머] 깜짝 놀랄 살인의추억 영화의 비밀 [19] 길갈10536 19/09/21 10536
363765 [LOL] LS가 선정한 롤드컵 TOP 20 [55] 비역슨8747 19/09/21 8747
363764 [서브컬쳐] 네바다 51구역 습격작전이 드디어 결행!! [8] metaljet8247 19/09/21 8247
363763 [기타] 월병 공장 [27] swear14188 19/09/21 14188
363762 [동물&귀욤] 제목을 지어주세요 [11] 나와 같다면6123 19/09/21 6123
363760 [유머] 손 안대고 프링글스 먹기 [17] swear9595 19/09/21 9595
363759 [유머] 당신의 닉네임이 부하로 들어옵니다.jpg [121] 비타에듀8977 19/09/21 8977
363758 [기타] 토탈워 시리즈 근황.steam [20] 톰슨가젤연탄구이8313 19/09/21 8313
363757 [LOL] 한국에서 논란이 많았었던 수상 [29] 반니스텔루이10288 19/09/21 102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