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11/12 19:35:35
Name 톰슨가젤연탄구이
File #1 67680de779df33ff7bfd1de9c7498a77.png (200.8 KB), Download : 50
출처 catdrip.net
Subject [기타] 나치의 잔혹함


주당 평균 노동시간
41.5시간 ->47,9시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lbert Camus
19/11/12 19:39
수정 아이콘
띠용..
전립선
19/11/12 19:39
수정 아이콘
47시간 이상=노예처럼
larrabee
19/11/12 19:39
수정 아이콘
주 52시간을 보니 천사같군요
19/11/12 19:39
수정 아이콘
아아... 아...
콩사탕
19/11/12 19:40
수정 아이콘
여긴 아직도 주52시간도 짧아서 안 된다는 자발적 노예들이 가득한데..
닭장군
19/11/12 19:52
수정 아이콘
좌파들이 나라를...(눈물)
호랑이기운
19/11/12 19:41
수정 아이콘
나치친구 일본은요?
그 닉네임
19/11/12 19:44
수정 아이콘
그놈의 인적자원드립은 언제 없어질까요
파이몬
19/11/12 19:44
수정 아이콘
노예
Knightmare
19/11/12 19:59
수정 아이콘
52시간 정도는 솔직히 그동안 없던게 이상했던 거고..
뭐 선수가 헬멧 같은 안전장구 떼고 가면 더 빠르다고 불만을 가질 순 있지만 심판이 그걸 놔두면 안되니까요.
19/11/12 20:02
수정 아이콘
나치가 천국이었군요? 띠용..
19/11/12 20:16
수정 아이콘
물론 엄근진해서 보면 나치가 악마였던게 경제 정책 때문은 아니긴 합니다만 크크
VictoryFood
19/11/12 20:36
수정 아이콘
통계청이 발표하는 대한민국 주당평균노동시간은

2014년 43.9 시간
2015년 43.7 시간
2016년 43.0 시간
2017년 42.8 시간
2018년 41.5 시간
2019년 1분기 41.1 시간
2019년 2분기 41.2 시간
2019년 3분기 39.8 시간

입니다.
잉크부스
19/11/12 20:44
수정 아이콘
화이트칼러 근무자의 야근은 작년중반까지는 프리오브 차지라 통계에 잡히지 않죠
19/11/12 21:44
수정 아이콘
매일 7~9시 퇴근했지만 전산상에는 5시반에 퇴근한걸로 찍혀있었죠...
어쩌다 5시반에 퇴근하면 집에 무슨일 있냐고...
한글날
19/11/12 20: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 부분에 대해선 문외한입니다만 흥미가 생겨서 찾아보니, 해당 본문은 Big business and Hitler 라는 책의 번역본으로 보입니다. 위키피디아의 Economy of Nazi Germany 항목에선 1939년 기준 약 60시간 근무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고, Nazi Germany at War 라는 책에선 전쟁이 시작되면서 여성들은 주당 56시간을 근무했으나, 당시엔 대중교통이 부족했으므로 실제론 하루 14시간 이상 집 밖에 있어야 했다고 합니다. 1941년 말부터는 노동력 부족으로 여성도 하루 11~12시간을 근무했고, 1944년에는 최소 (minimum) 근로시간이 60시간이 되었으며, 농업에는 노동시간 제한이 없어서 주당 105시간을 일했고, 1944년의 군수산업 남성 노동자는 72시간을 근무한 것으로 언급되네요. 1933년 모든 기존 노조를 강제해산한 후 설립된 어용노조인 독일노동전선 (DAF/GLF) 에는 90% 의 노동자가 가입되어 있었는데, 파업과 공장폐쇄는 불법이었으며, 임금협상과 노동환경 개선의 권리가 없었고, 허가 없이 직업을 바꿀 수 없었습니다. GLF 는 1939년에 법정 최대 근로시간을 기존의 60시간에서 72시간으로 상향했습니다.

결론적으로 2차대전 발발 (1939년) 전까진 나름 괜찮은 조건이었지만, 전쟁이 시작된 이후로 노동시간이 급증한 것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동일한 노동시간이라도 오늘날의 노동환경과 비교할 수 없는 여러가지 차이점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잉크부스
19/11/12 20:45
수정 아이콘
전쟁이야 국민의 목숨을 건 총력전이니 예외로 해야겠죠?
한글날
19/11/12 21:06
수정 아이콘
네, 의외로 전쟁 발발 전까진 근로시간도 나쁘지 않았고, 나치당이 노동자의 삶의 질 개선에 나름 노력했던 부분들이 있더군요. 완전고용과 복지 향상, 휴가 프로그램, 노동자 축제 등...반면 그것들은 전쟁 발발 이전부터 이미 시민들의 거주 이전과 직업 선택의 자유, 파업권과 임금협상권, 여성의 사회진출 등을 모두 제한한 댓가로서 주어진 당근이었구요. 아무튼 결과적으로 국가 전반의 경제와 생활수준이 향상되었기에 전쟁 발발 전까지만 해도 나치당이 자국은 물론 해외에서까지 높은 인기와 추종자들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겠죠.
19/11/12 21:1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저기서 말하는 노동시간은 현장직들 얘기하는거 아닌가요?
잘은 모르겠지만 저 시대의 근로조건, 근무환경, 등등을 감안하면 현대와 비교하는건 어쩌면 미안해질지도 모를것 같아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8959 [유머] 수험생 금지곡 모음 [26] 카루오스19724 19/11/13 19724
368958 [기타] 수능 최초 만점자 근황.jpg [36] 살인자들의섬14492 19/11/13 14492
368957 [유머] 16학번 틀x이 미팅 나가도 되는거냐 [7] 근로시간면제자7099 19/11/13 7099
368956 [LOL] 첫 인상의 중요성 [16] Leeka9946 19/11/13 9946
368955 [유머] 3m짜리 케이블 사오라고 [10] 불행8995 19/11/13 8995
368954 [LOL] 그리핀 오늘 방송 중계 예정. [15] 감별사7843 19/11/13 7843
368952 [LOL] 티안 : "첫경기 LWX가 말아먹은 뒤 중국까지 수영해서 돌아갈 방법을 궁리했다." [49] 신불해15356 19/11/13 15356
368951 [유머] 자보티카바열매 [16] 불행6828 19/11/13 6828
368950 [유머] 뽁뽁이 브레이커 [9] 카루오스6973 19/11/13 6973
368949 [유머] 불륜남이라니 오해십니다. [10] 카루오스11628 19/11/13 11628
368948 [LOL] C9: 지난 4년동안 래퍼드 감독에게 감사했습니다 [11] 블러드하운드9948 19/11/13 9948
368947 [유머] 쌍둥이 아빠의 노력 [38] 카루오스11929 19/11/13 11929
368946 [유머] 의외로 많이 못먹음.jpg [26] 삭제됨11402 19/11/13 11402
368945 [LOL] LPL 신입생 투표 순위 [26] 신불해14249 19/11/13 14249
368944 [유머] 경찰이 보복운전이라는데 억울합니다 ㅠ.youtube [116] AKbizs15136 19/11/13 15136
368943 [유머] 한국사람들은 채소를 얼마나 먹을까? [81] 불행12372 19/11/13 12372
368942 [LOL] LPL 올스타 투표순위 [71] 興盡悲來9941 19/11/13 9941
368941 [텍스트] [충격]설악산 흔들바위 굴려 떨어뜨린 미국인 관광객 입건 [35] 비타에듀12557 19/11/13 12557
368940 [서브컬쳐] 소닉 티저 유투브 반응.gif [15] TWICE쯔위8272 19/11/13 8272
368939 [LOL] 사건이 이쯤되니 씨맥에게 궁금한점 [3] 타임러스9989 19/11/13 9989
368938 [유머] 일본 여행하던 데프콘이 갑자기 방송을 중단한 이유.jpg [20] 은여우14113 19/11/13 14113
368937 [유머] 치킨 반 마리에 15,000원.jpg [37] 감별사13452 19/11/13 13452
368936 [기타] 미국 기준 가성비 높은 / 낮은 전공들 [63] OrBef12997 19/11/13 129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