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2/20 23:11:04
Name 된장까스
File #1 19523a9ceea538f18.jpg (49.9 KB), Download : 403
출처 2차 루리웹
Subject [유머] 드디어 실제 판매를 시작한 5070ti 한국 가격 근황 jpg


옛날에는 저 돈이면 PC 한대 뚝딱이었는데 말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ymaster
25/02/20 23:29
수정 아이콘
저건 생색내기용이고 실 가격은 170만원대라는 말이...
십자포화
25/02/20 23:33
수정 아이콘
10년 전만 해도 적당한 메인스트림 CPU에 퍼포먼스급 글카를 장착하던 가격인데....
25/02/20 23:42
수정 아이콘
120대에 4080s 산 사람들이 승리자
지나가던S
25/02/20 23:53
수정 아이콘
저건 출시 특가 가격이라서 오늘 1분 안에 구매 못했으면 못 구하는 가격이고
최소 2개월은 160~180만 원 아니면 5070Ti는 구매 못 할 겁니다.
제가 지금 쓰고 있는 본체+모니터+스피커+키보드+마우스+외장하드를 다 합쳐도 50만 원은 더해야 하는 군요.
25/02/21 00:14
수정 아이콘
비디오게임이 점점 비싼 취미가 되어가네요.
25/02/21 00:50
수정 아이콘
그냥 4080S 중고 알아보는게 속편할듯 깡성능도 훨씬 좋고
25/02/21 01:03
수정 아이콘
클라우드 게이밍 관련주가가 올라야 되는거 아닌가요
25/02/21 01:21
수정 아이콘
그중 가장 쓸만하다고 취급되는게 지포스 나우고 스태디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돈을 아무리 쏟아부어도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망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게이밍은 지구 전역에 광케이블 서버 다 깔아둘거 아니면 가망이없죠.
뒹굴뒹굴
25/02/21 07:09
수정 아이콘
지포스나우보다는 그래도 게임패스가 좀 낫지 않나요?
빠독이
25/02/21 01:38
수정 아이콘
제가 작년에 7500f+6800으로 본체 맞췄는데 저거 하나보다 싸군요.
이걸로도 듀얼모니터에 다른 거 다 틀어두고도 몬헌 와일즈 베타 FHD 상옵이 괜찮게 돌아가는데 이 정도면 만족합니다.
25/02/21 02:21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굳이 고사양 작업을 안해도 상급기 가고 그랬는데 이제는 4060에도 만족하는 제가 되었습니다..
태양의맛썬칩
25/02/21 02:49
수정 아이콘
소니가 플스5프로를 괜히 그 가격으로 파는게 아니었어요.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본 거죠
25/02/21 05:02
수정 아이콘
플5프로 100만원 인 이유
25/02/21 06:18
수정 아이콘
4080super야 오래살자..
25/02/21 07:27
수정 아이콘
1080을 70에 줬는데 .. 5년만 더 버티자.. 
에이펙스
25/02/21 07:49
수정 아이콘
지금도 저돈이면 pc한대 뚝딱이에요 크크
다람쥐룰루
25/02/21 07:53
수정 아이콘
2222
데몬헌터
25/02/21 08:01
수정 아이콘
3060ti야 힘을내!
25/02/21 08:12
수정 아이콘
듀얼 Gpu LGFS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커버 가능!
25/02/21 08:40
수정 아이콘
그것도 파워, 세팅값생각하면 애매합니다
최소 4070에 듀얼해야 5070ti비빌수있어서
25/02/21 10:06
수정 아이콘
있는거 최대한 활용해보는 쪽이라, 세팅하는 재미도 있습니다 흐흐
25/02/21 08:37
수정 아이콘
1070아 힘내자
발적화
25/02/21 09:11
수정 아이콘
3080 아 올해도 힘내보자
이민들레
25/02/21 09:41
수정 아이콘
물가 오른거 생각하면 그냥 정상일지도..?
아케르나르
25/02/21 09:51
수정 아이콘
PC게임 유저 수가 줄어드는 것도 영향이 있으려나요? 엔비디아의 주 매출은 이제 기업용이고 그래픽카드는 곁다리라 사던 말던 신경 안 쓰고 가격 올려치는 것도 있겠지만.. 저만 해도 이제 피씨게임은 잘 안하고 남 하는 거 보는 경우가 잦거든요. 모바일 게임으로 많이 넘어왔고, 앞으로도 그 추세가 변할 거 같지는 않네요.
Lord Be Goja
25/02/21 10:33
수정 아이콘
pc게임시장은 계속 증가해서 현재 최고치입니다
게이밍 그래픽카드 출하량도(단 유닛이 아니라 매출액입니다.) 작년이 최고점이였고요..

https://gigglehd.com/gg/game/16819744
보시면 스팀동접자가 코시국보다도 늘었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지포스사업부매출만 해도 암드전체의 60%정도에(amd가 인수한 자일링스FPGA사업부까지 포함)달하기 때문에 절대 안팔리는 제품군이 아닙니다


단 이런 게이밍 시장의 증가보다도 ai관련 시장의 증가와 규모가 압도적이라서...(현재 전체 메모리 시장 거래액에서 HBM이 30%이상을 차지할 정도) 밀리는거죠
아케르나르
25/02/21 10:58
수정 아이콘
음... 검색해보니 PC게임시장 규모는 모바일, 콘솔에 이어서 3위이고 23년 성장률이 8%로 높았다는 내용은 있네요.
https://m.thisisgame.com/webzine/pds/nboard/267/?category=3&n=189153
또 찾아보니 엔비디아에서 게임과 데이터 센터의 매출 비중이 각각 43%, 45%군요. 생각보다는 많이 높아서 놀랐습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61126625870272&mediaCodeNo=257
Lord Be Goja
25/02/21 11: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에 콘솔 독점하던 시리즈들이 독점을 안하거나 몇달만하고 피시로 빨리 내는것도 피시게임시장이 2010년대나 그 이전에 비해 엄청 성장해서 그렇습니다.(물론 개발비용이 너무 증가해서 콘솔만 가지고 원금회수하는게 빡세진것도 무시못하죠) 피시게임의 진짜 암흑기는 다들 황금기라고생각한 2000년즈음.. 콘솔은 천만단위 게임이 90년대에 나왔는데 (파판7) 그즈음 pc rpg를 보면 폴아웃 1,2는 합쳐서 백만이하 발더스2는 2백만..디아2가 4백만 수준이였죠
그런데 개발비증가가 판매량에 비해 커저서  스튜디오가 많이들 사라졌죠
페스티
25/02/21 11:52
수정 아이콘
4080s 사길 잘했다!
25/02/21 20:32
수정 아이콘
3070 40만원 아래로산거같은데 너무 잘삿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2561 [유머] 오락실 테이블축구 고인물 [8] Croove7612 25/02/27 7612
512560 [기타] 싸구려술이 비싸게 팔리는거 킹받을 필요가 없는이유 [17] Lord Be Goja9757 25/02/27 9757
512559 [게임] "넌 선택받은 자였어! 코하네!!" [10] 된장까스7058 25/02/27 7058
512558 [기타] 어메리칸 기인열전 [14] Lord Be Goja7610 25/02/27 7610
512557 [유머] 직장인들의 넵지도.jpg [51] 핑크솔져12567 25/02/27 12567
512556 [기타] 기아 새로운 전기차들 [24] 빼사스8485 25/02/27 8485
512555 [연예인] 한창 집사컨셉으로 잘나가던 닛몰캐쉬 근황.jpg [7] 캬라9104 25/02/27 9104
512554 [유머] 스위치 2의 아쉬운 유출정보 [9] 공기청정기6058 25/02/27 6058
512553 [서브컬쳐] 벗길수록 잘팔림 [8] Lord Be Goja8506 25/02/27 8506
512552 [기타] 일본 : 한국녀석들 너희만 좋은거 쓰냐(?) [4] 김삼관7513 25/02/27 7513
512551 [음식] [오피셜] 밍글스, 미슐랭 3스타 획득 [15] Davi4ever7930 25/02/27 7930
512550 [음식] 해외 자주 가는 술꾼들에게 희소식 [40] 로켓8116 25/02/27 8116
512549 [기타] 가장 값비싼 지뢰제거 방법(장비) [20] Croove7190 25/02/27 7190
512548 [기타] 생각해보니 업무진행에 필수적인건 아니군요 그렇죠??? [17] Lord Be Goja7991 25/02/27 7991
512547 [유머] 중견기업 아빠 육아 휴직 후기.jpg [43] 핑크솔져11125 25/02/27 11125
512546 [기타] 오래된 딩크족의 소회 [108] 가만히 손을 잡으13783 25/02/27 13783
512545 [게임] 의외로 다른 분야에서 먼저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게임 캐릭터 [6] 묻고 더블로 가!4976 25/02/27 4976
512544 [게임] 와...아무리 그래도 이건 좀 아니지 않나??? (디나미스 원 압색) [46] 피아칼라이7456 25/02/27 7456
512543 [유머] [512520 관련] 안성재 셰프 때문에(?) 맛집 잃어버려서 슬픈 윤남노 셰프 [4] Davi4ever6443 25/02/27 6443
512542 [기타] ios 18.2.. 혼란스러웠던 아이폰ai 요약기능 도입당시 상황 [42] Lord Be Goja5916 25/02/27 5916
512541 [방송] 21년만에 부활하는 전설의 예능 [27] 시린비9015 25/02/27 9015
512540 [게임] 투하트 리메이크 트레일러 [14] STEAM4113 25/02/27 4113
512539 [연예인] 추성훈 열애설 때 일본인들이 받은 느낌 [14] VictoryFood7530 25/02/27 75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