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6/15 11:39:56
Name 102
Subject [질문] 정세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은 대북전문가 맞나요?
주장이나 행동을 보면 그분의 일관성은 알겠는데
제가볼때 생각이 DJ정부시절, 20년전에 머물러 있는분 같거든요. 그때는 김대중 김정일 클링턴 시대였는데...
지금은 문재인 김정은 트럼프 시대잖아요.
예전에도 좀 답답하면서도 동의못했는데
요즘은 좀 무섭거든요.
저분이 현 정부 대북정책에 도움이 되는건가 궁금해집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기다리고기다리
20/06/15 11:42
수정 아이콘
자타공인 전문가인 건 맞죠. 개인적으로는 도움이 안 된다는 이야기에 동의하지 못하겠습니다만 왜 그런가는 설명을 못 하겠네요. 아마 피쟐 유저분들 대부분이 다 그러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10년 전, 20년 전에 전문가였던 사람이 지금도 그 당시의 통찰력을 유지하고 있는가, 현재의 국제정세를 비롯한 여러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느냐, 나아가 그게 당장의 대북기조에 도움이 되는가를 이야기하려면 현재 그 방면에서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 정도는 되어야 확실하게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20/06/15 11:47
수정 아이콘
너무 북한입장만 대변하고
미국의 힘을 무시하고
우리나라 대통령의 외교능력을 높게보는것 같아요
아기다리고기다리
20/06/15 11:55
수정 아이콘
아는 만큼 보이는 거니까요
해당 분야에서 수십년 종사하고 온갖 경험을 쌓은 사람이 보는 시각과 평범한 직장인들이 보는 게 다를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20/06/15 12:11
수정 아이콘
저는 일반인 누구라도 정세현 부의장이랑 똑같이 판단하고 말하는게 어렵지 않는것 같아요
물론 그런말 누가 하느냐에 따라 무게감이 다르지만..
20/06/15 11:45
수정 아이콘
커리어만 놓고보면 더 전문적인 사람 찾기 힘들죠.
그사람의 말이 맞냐 틀리냐는 다른 문제구요.

무엇보다 대북외교는 우리가 어떻게 할수 있는게 별로 없어요. 미국영향이 거의 90%이상이라고 보면 되는데
북한이 선만넘지 않는한 미국이 그렇게 적극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이네요.
몇년전에 트럼트가 선거용으로 좀 써먹어 볼라고 깔짝거리면서 분위좀 띄웠다 지금은 쏙들어갔죠.
20/06/15 11:50
수정 아이콘
미국 거르고 일단 1대1로 북한에게 뭐라도 질러버려라 고 하는데
그게 현 정권에서 할수있을지도 모르겠고
북한또한 원하지 않을거라 보거든요
무슨 담보가 있어서 미국을 거르고 앞으로 나서라는건지
及時雨
20/06/15 12:00
수정 아이콘
전문가냐 그러면 전문가 중의 전문가죠.
미국 책임론은 좀 투머치하긴 한 거 같습니다.
저도 북한학 전공을 하긴 했는데 기본적으로 북한은 예측과 신뢰가 불가능한 거 같아서 사실 전문가랑 일반인이랑 큰 차이도 없는 거 같아요 어째.
20/06/15 12:07
수정 아이콘
저도 국제정치,북한정치 짧게나마 공부했었는데(사실 주전공아니고 10년훌쩍 지나서 다까먹었습니다)
참 어려운것 같아요 근데 이런생각이 들어요
북한 정권이 과연 통일을 바랄까 또 현 여당이 정권을 유지하고 잡는걸 원할까.. 농담으로 김정은이 우리 주식하는거 아니냐 말하지만 그걸 제쳐두더라도 김정은과 그 주변에서 우리 사회 정보입수를 안할까 싶어요.
우리가 북한에게 유화책을 펼치며 그들의 개방과 변화를 원한다는것까지 김정은이 안다면 대응법또한 역으로 이용해 먹을거 같아요....
興盡悲來
20/06/15 12:06
수정 아이콘
음... 분야가 좀 다르긴 합니다만... 대한민국에서 차범근이 분데스리가 전문가인가? 와 비슷한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세현이 현역(?)으로 뛰었던 시절은 한 세대 전입니다만, 당시 활동으로 축적된 지식과 무엇보다 인적자원들... 휴민트라고도 하죠... 그런 것들은 대한민국의 대북 전문가들 중에 최고레벨이라고 봐야겠죠...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정세현은 대북전문가다'라는 명제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20/06/15 12:09
수정 아이콘
저는 김성근 감독 생각이..
김성근 감독도 대한민국 최고의 프로야구 감독중 한명인건 맞..
도라지
20/06/15 12:59
수정 아이콘
전문가인건 확실합니다.
문제는 정치적인것들이 엮여있어서, 보는 시각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는 상황이죠.
20/06/15 23:34
수정 아이콘
본문에도 적었지만, 20년전엔 대통령이... 김대중, 클링턴이었고 북한은 김정일 정권이었거든요.
까놓고 말해 그때는 김대중 대통령 카리스마나 추진력이 클링턴에게 먹혔다고 생각해요 근데 지금 문재인대통령이 트럼프 거르고 뭐든 추진해야 한다, 아니 해도 된다, 할수있다...라고 생각하는건지 진심 궁금합니다. 그리고 김정은이 그걸 받아줄지.. 까지도.
20/06/15 15:37
수정 아이콘
우리들보다 아는거야 많겠죠. 그리고 그런 정보들로 먼가는 판단하고 지시할수잇는 위치이기도 하고요. 그게 잘된거냐 못된거냐는 결과론적인거구요.
20/06/15 23:32
수정 아이콘
저는 그래서 더 위험한것 같습니다. 많이 알고 언론이 말을 써주는 위치에 있고, 어디든 영향력을 행할수도 있는사람이라.
Chandler
20/06/15 19:09
수정 아이콘
전문가는 그분야에선 전문가이지 그 분야에서 살짝만 벗어나면 일반인보다 못한 경우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일반인만큼 타 분야에 무지해서라기 보단 본인 분야에 과몰입해서 일반인이 봐도 랴 리건 싶을때도 그걸 간과하기도 하는 거 같아요...약간 그런 경우가 아닐까 싶네요.
20/06/15 23:30
수정 아이콘
네 제가 의미그래도 전문가냐고 말하려는건 아니고, 님 말처럼 보통 사람보다 더 상식적으로 보고있는지 궁금했던겁니다.
치우칠수는 있다고 보는데, 정도가 지나친것 같아서...
상한우유
20/06/18 11:12
수정 아이콘
전문가죠. DJ 때 인물이 지금까지 민주평통수석부의장까지 하고 있잖아요?
20년의 세월을 타임워프 한것도 아니고 그간 계속 그쪽 업계(?)에서 계셨을텐데 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919 [질문] 2인가구 기준으로 생활비 어느정도 쓰시나요? [17] 피쟐러6163 20/06/16 6163
145918 [질문] 구글 드라이버 사용법 문의합니다. [3] Anti-MAGE4616 20/06/16 4616
145917 [질문] 자취 1인 식비 보통 어느 정도 기준을 잡으시나요? [12] 길갈5901 20/06/16 5901
145916 [질문] 롤인벤 대신 뭘 보면 될까요? [27] 과객A6049 20/06/16 6049
145915 [질문] 화재현장에 들어가려는 부모와, 막는 소방관의 사진을 찾습니다 [1] Fangga5180 20/06/16 5180
145914 [질문] 30대초반 대림동 자취 어떨까요? [26] 분당선11531 20/06/16 11531
145913 [질문] 위내시경 후 조직검사질문 [4] 싸구려신사4889 20/06/16 4889
145912 [질문] 노출베란다 화단 원상복구 질문드립니다. [5] 달리는물망초4642 20/06/16 4642
145911 [질문] 여러분은 팀장을 왜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19] 스웨트6642 20/06/16 6642
145910 [질문] 저작권 변리사 상담 문의 카오루3843 20/06/16 3843
145909 [질문] 양발운전이라는게 실제로 있나요?? [88] 운수9444 20/06/16 9444
145908 [질문]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 [10] NetGO4900 20/06/16 4900
145907 [질문] 다음주에 제주도 혼행을 갑니다. [12] 아라가키유이5573 20/06/16 5573
145906 [질문] 노래 질문 드립니다. In a persian market 이라는 곡의 음을 이용한 곡이 있나요?? [6] 회색사과4253 20/06/16 4253
145905 [질문] 야외 모기 대처용 아이템이 있나요? [5] EPerShare5123 20/06/16 5123
145904 [질문] 26년동안 입은 옷이 있는데.. 버려야 할까요? 같은 옷 너무 오래입으면 이상한가요? [21] Googlo5842 20/06/16 5842
145903 [질문] 만화 캡쳐 허용범위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 라쇼4286 20/06/16 4286
145902 [질문] 본인의 잘못이 아닌(?) 이유로 기절한 운전자가 낸 사고는 책임이 어떻게 되나요? [5] 興盡悲來5339 20/06/16 5339
145901 [질문] 출퇴근용or패션용 저렴한 런닝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요한4521 20/06/16 4521
145900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입니다 ! [6] 잘못한대학생4661 20/06/16 4661
145899 [질문] 부동산 매매 관련하여 골치아픈 상황이 생겼습니다 [17] 콩탕망탕5460 20/06/16 5460
145898 [질문] 어린이 교통사고에서 스쿨존 및 비스쿨존 통계데이터 부탁드립니다. [2] lihlcnkr5904 20/06/16 5904
145896 [질문] 노래를 찾습니다 [3] 참된깨달음3992 20/06/16 39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