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11 19:54:08
Name 오렌지망고
Subject [질문] 건강검진 결과가 콜레스테롤이 높다는데..
건강검진 결과를 오늘 받았는데

총콜레스테롤이 268.7       / 21 미만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38.1     /40 이상
중성지방 91.6   /151미만
저밀도 콜레스테롤 212   /141미만

이렇게 나왔네요...

비만이 아니라서(174cm, 71kg) 콜레스테롤 관련 문제가 있을줄은 생각도 못했는데 뭐 어떻게 해야될까요?

종합소견에는

"이상지질혈증의심에 관한 운동, 저지방식이 및 진료요함, 신장질환의심에 관한 진료요함"

이렇게 되어 있는데 그냥 근처가서 소견서 주고 진료받고 약 타오면 되나요?

그리고 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쟐러
20/12/11 19:57
수정 아이콘
운동 오메가3 기름진 식이자제
아니면 병원가서 콜레스테롤 약 받으셔야졍
오렌지망고
20/12/11 20:10
수정 아이콘
수치가 많이 높은건가요? 위험이라고 써있네요 ;
쏘쏘쏘
20/12/11 21:07
수정 아이콘
상반된 이야기가 두개 있어서 저도 뭐가 진실인지 모르겠더라구요. 일단 위에꺼 믿고 막 먹고있습니다만 일단 오메가는 먹고있어요

음식 및 운동과 무관하다는 기사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6011202415

음식과 관련있다는 기사
https://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ID=1130404
피쟐러
20/12/11 21:25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론
후천적 음식 3 : 유전적 소인 7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몽키매직
20/12/12 09:40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경험 (통계를 내본 적은 없으니 적당히 걸러서 판단해주세요...) 으로는
생활습관 교정으로 전혀 호전이 안되는 분들도 있고, 드라마틱하게 호전되는 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고지혈증도 유전적 소인이 있어서 젊을 때부터 있으신 분들은 뭔 짓을 해도 안되는 경우가 꽤 있는 것 같습니다.
근데 또 되는 분들은 됩니다. 체중 한 10kg 빼고 오시면 고지혈증 달고 사시던 분들이 약 없이 정상범위 유지되는 경우도 있고요...
(물론 10kg 정도 빼시는 분들 자체가 드물긴 합니다...)
20/12/11 21:13
수정 아이콘
음식과 운동으로 낮춰야죠.
피자, 치킨, 튀김, 라면 등 안좋을것 같은건 가능하면 줄이고, 고기는 적당한 정도로만 먹고, 채소 잘 챙겨먹고, 각종 나물을 가까이 하고, 해산물도 가까이 하고, 낫또, 요구르트 등 좋다고 알려져있는거 열심히 챙겨먹고, 식용유 대신 올리브유만 쓰고, 몸을 충분히 움직이고 등등..
자유형다람쥐
20/12/11 21:51
수정 아이콘
LDL 꽤 높으신거구요, 유전력 있는지 확인해보시고 내과 ¹방문해서 스타틴 계열 약 처방받아 드세요. 일단 이것부터만 시작해고 큰 도움이 되실거에요
오렌지망고
20/12/11 21:52
수정 아이콘
저희 어머니가 비만도 아니고 고기, 기름진거 안좋아하시는데 고지혈증 진단을 받으셨어요... 그것때문인가
자유형다람쥐
20/12/11 23:54
수정 아이콘
다들 말씀해주신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가능성이 높고 조절 안하시면 추후 뇌졸중, 심근경색 등 혈관질환 가능성 많이 높으실거에요. 오렌지망고님 뿐만이 아니고 가족분들도 검사받고 약 잘 드시면 충분히 조절될거에요!
Timeless
20/12/11 22:09
수정 아이콘
LDL이 저 정도면 운동이나 식사로는 조절 안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특히 젊은 사람이 저 정도 수치라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의심되고, 현재로서는 약물 치료가 최선입니다. 약 먹으면서 조절되는 양상을 보고 약을 조정합니다. 근처 내과, 가정의학과 등 진료받으세요.
오렌지망고
20/12/11 22:34
수정 아이콘
지금 만으로 28인데 이정도면 젊은거죠?... 흑흑... 차라리 비만이라서 그런거면 좋겠네요
Timeless
20/12/11 22:36
수정 아이콘
네. 그 나이대는 대부분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입니다. 형제 있으면 검사 권하시고, 오렌지망고님은 진료받고 약물치료 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렌지망고
20/12/11 22:45
수정 아이콘
저보다 수치 낮은 사람도 동맥경화로 죽었다는 인터넷 글을 보니 무서워지네요... 내일 바로 가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118 [삭제예정] 두 치과중에 어디를 고르실것같나요? [7] Redrum5975 20/12/14 5975
151117 [질문] [아이폰] 미국 직구 아이폰12 미니, 이 버튼(?) 뭔지 아시나요? [5] 아침5711 20/12/14 5711
151116 [질문] 와우용 그래픽카드 1650, 1660 super 중옵 정도 가능할까요? [5] 비발디7645 20/12/14 7645
151115 [질문] 피부과 여드름 흉터치료 받으려고 합니다. 조언좀... [4] 오늘처럼만5116 20/12/14 5116
151114 [질문] 하지정맥류 수술해보신 분들 계신가요? [2] LG의심장박용택5537 20/12/14 5537
151112 [질문] 아파트 소음 원인 궁금합니다. 한번 들어봐주세요. [10] 세바준6525 20/12/14 6525
151111 [질문] 한국에서 이용 가능한 게임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을까요? [4] 맛있는새우5326 20/12/14 5326
151110 [질문] 와우용 컴터 견적 질문입니다(5600X와 지포스조합) [14] 인달6810 20/12/14 6810
151109 [질문] 인터넷만 신청 vs TV도 같이신청 [7] 아니그게아니고6341 20/12/14 6341
151108 [질문] 중2 수학 삼각형 넓이구하기 [37] 터치터치5854 20/12/14 5854
151107 [질문] 1인칭이면서 총쏘는게 위주가 아닌 잘 만든 콘솔 RPG 있을까요? [16] drighk7492 20/12/14 7492
151106 [질문] 엑셀에서 복사 붙여넣기 할때 서식유지관련 질문입니다. [7] 아이유_밤편지6236 20/12/14 6236
151105 [질문] 전세보증보험 확인 질문입니다 곰비4873 20/12/14 4873
151104 [질문] 효율적인 스팸전화 차단 방법 [1] BTK5536 20/12/14 5536
151103 [질문] 카드사에서 공과금/휴대폰 요금 납부를 등록하라는건 왜 그런가요? [4] monkeyD6442 20/12/14 6442
151102 [질문] 크롬: '사이트 또는 앱의 정보 유출로 인해 비밀번호가 노출되었습니다' [5] 고민이될지도몰라10768 20/12/14 10768
151101 [질문] (결혼준비) 예단 관련 질문드립니다. [17] 정연정연해7354 20/12/14 7354
151100 [질문] 밀리터리 커뮤니티 어디가 좋은가요? [8] 삭제됨5713 20/12/13 5713
151099 [질문] 전세로 들어가려는 집 마루바닥 냄새 처리 문제 [3] 연필깍이7296 20/12/13 7296
151098 [질문] K리그 전북현대의 2006년 챔스우승에 대해서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11] Gunners6359 20/12/13 6359
151097 [질문] 연금관련 조언 좀 구하고 싶어서요 [9] 플래쉬7001 20/12/13 7001
151096 [질문] 와이파이 확장 방법 문의 [6] gungs5770 20/12/13 5770
151095 [질문] 인덕션과 식기세척기 [2] 반성맨7101 20/12/13 71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