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21 00:34:27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부동산 매입 관련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카스
20/12/21 00:50
수정 아이콘
물건에 대한 정보가 전무합니다.
변동시세 차익을 보고 싶으신거죠?

너도나도 노동의 가치에 대해 평가절하하며 주위 누구는 얼마 벌었더라 이런거에 따라가면 늦지 않았을까하지만 지금은 대 유동성의 시대이기도 하고, 우선 부동산 지역, 아파트명, 평 및 층수, 투자기간 정도만 인폼해줘도 피드백 가능할듯 합니다.
피쟐러
20/12/21 01: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4억이면 서울 및 수도권 초기 재개발 추천합니다
피식인
20/12/21 01:58
수정 아이콘
저는 이거는 너무 하이 리스크가 아닌가 싶네요. 10년 20년 넘는 시간과의 싸움이 될 수도 있는데.. 아무나 하기 힘들다고 봅니다. 이런건 실거주 목적이 아예 없거나, 여유 자금으로 투자하시는 분들이나 할만하다고 생각해요.
피쟐러
20/12/21 02:04
수정 아이콘
완공까지 기다려야되는게 아니니 상관없죠
재개발은 관처전까진 자유롭게 팔수 있거든요
20/12/21 07:06
수정 아이콘
4억으로 갈수있는 서울 아파트가 있나요..?
피식인
20/12/21 09:44
수정 아이콘
재개발이니 아파트가 아니라 단독주택이든 빌라든 대지면적 보고 들어간다는 얘긴데요.. 재개발이 되려면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단계를 지날 때마다 시세가 오릅니다. 초기에 진입할수록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이익이 커지고, 나중에 진입할수록 시세가 이미 올라 있기 때문에 이익이 조금씩 줄어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개발 초기 단계에 진입한 투자가 성공해서, 새 아파트 완공까지 가면 극단적인 이익을 추구할 수 있죠. 피쟐러님이 얘기하는 방법은 재개발에 투자해서 새아파트 완공 될 때까지 안고 가지 않더라도, 중간 단계에 빠져 나오면 단계마다 상승한 시세만큼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부분이구요. 문제는 두가지 리스크가 있네요. 1. 재개발이 안 되고 엎어질 수도 있다. 이러면 망합니다. 재개발 호재로 인한 시세 상승분 토해내야 하고, 최악의 경우 매입한 물건을 처분하는 것 마저도 곤란할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지역 분석을 통해서 여기는 재개발이 된다라는 확신이 어느 정도 있을 때 들어가야 하구요. 혹시라도 엎어질거 같다 싶으면 손 털고 나올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초기 단계에 진입할 수록 엎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면 되고, 나중 단계에 진입할수록 엎어질 확률이 낮아집니다. 2. 재개발이 되더라도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다. 재개발 과정 중 난항이 있을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내가 일으킨 대출이 재개발 일정이 지연되더라도 이자 등을 감당할 수 있는지, 재개발 투자 기간 중 내 가용 가능 자산이 묶이게 될 텐데 돈을 묶어둘 수 있는 돈인지 등을 고려하셔야 할 듯 합니다.
20/12/21 09:57
수정 아이콘
아하 아파트가 아니군요 저는 나중에 실거주를 생각하고 있어서 이쪽은 힘들듯 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20/12/21 08:24
수정 아이콘
물건정보도 없고..
정보가 있다 한들 입지분석정도는 할수 있겠으나 판단은 본인이 하는거죠.
20/12/21 08:31
수정 아이콘
인덕원, 평촌역쪽 구축 20평대 생각중입니다
20/12/21 09:40
수정 아이콘
위치는 나쁘지 않네요.
자가 한채는 딱히 상투 이런거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살면 되니까요.
수원역롯데몰
20/12/21 08:49
수정 아이콘
대출 1.5억 이자만 부담없으시면 괜찮을것 같네요. 부모님 증여가 1.5억이면 자기자본 2.5억으로 7억대 아파트 사는거고 전세도 많이 올랐으니 투자로서 나쁘지 않아 보여요.
20/12/21 09:10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드립니다 상투잡는게 아닌가 걱정이 크네요
수원역롯데몰
20/12/21 09:13
수정 아이콘
당장 입주 안하시더라도 실거주 1채는 언제나 필요하다는 주의라 ^^ 잘 되실꺼에요.
노파심에서 말씀드리는데 증여는 꼭 신고하셔야 합니다. 대출로 하시려면 차용증 + 공증 + 매달 이자 상환 꼭 하셔야 하구요.
20/12/21 09:15
수정 아이콘
네네 신고하고 증여세 낼생각입니다
NoGainNoPain
20/12/21 09:37
수정 아이콘
안양이라면 투기과열지구 아닌가요? 그럼 LTV 40% 적용될텐데요.
매매 7억 5천에 전세 3억 5천이라면 대략 46% 정도인데 투기과열지구이므로 전세퇴거자금대출로 전세금을 되돌려주기가 불가능합니다.
전세금이 오른다면 모르되 3억 5천에서 내리거나 세입자가 제때 들어오지 않는 순간 지옥을 겪으실 건데요.
20/12/21 09:56
수정 아이콘
40%까지는 대출이 나오나요? 열심히 원화채굴 해서 어찌저찌 매꿀수 있지 않나 싶은데...
NoGainNoPain
20/12/21 10:06
수정 아이콘
신용 1.5억은 이미 한도고 LTV 40% 적용이면 3억이 한도라서 단순계산으로 5천이 빕니다.
대출한도까지 받았는데도 5천이 빈다는건 엄청 큰 겁니다.
이 5천을 어디서 땡겨올 수 있다면 모르되 그럴 수 없다면 계획을 조정하셔야 됩니다.
20/12/21 10:10
수정 아이콘
아 5천정도 빌리는건 부모님 찬스가 가능할것 같습니다
StayAway
20/12/21 09:50
수정 아이콘
다른건 고민하지마시고 양도세 면제구간이 실거주 2년, 전세 5년인데
차익생각하고 전세로 굴리실거면 5년간 실거주할 집이 없어도 되는지, 5년간 이자를 내는데 문제가 없는지만 고민하시면 됩니다.

제가 30대 초반 미혼이라면 100% 투자목적보다는 여차하면 실거주가 가능한 집인지를 고려해서
운용을 하시는게 하락장이 와도 버티기 쉬우실거 같습니다. 주식 물리면 3년이라치면 부동산은 최소 5~10년이에요.
20/12/21 09:54
수정 아이콘
투자목적 보다는 나중에 돈모아서 실거주 할 생각입니다 더오르면 못살것 같아서 매매를 고려중이에요
StayAway
20/12/21 10:06
수정 아이콘
장기적으로 거주 목적이면 상투 걱정하실건 없어보입니다.
전세주다가 실거주하다가 이사가면서 다시 전세준다 생각하면 보유기간 10년정도 되니
아무리 부정적으로 봐도 보합은 갈거고 최대한 입지 좋고 남들 좋다고 하는 곳으로 가세요.
어차피 하락장이 오면 집값이 제일 늦게 오른곳부터 먼저 빠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수도권으로 치면 덩달아 오른 외곽 신도시, 부도심 빌라, 도심 아파트 순이되겠죠.
20/12/21 10:14
수정 아이콘
서울은 힘들고 평촌 인덕원 고려중인데 하나 걸리는게 재건축 가능성이 없는거네요
StayAway
20/12/21 10:28
수정 아이콘
극히 개인적인 관점으로 보자면 인덕원 쪽이 조금이라도 나을거 같긴합니다만,
큰 돈 들어가는 문제니 이거저거 잘 따져보시고 좋은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평촌은 재건축은 기대 안 하시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설사 된다 하더라도 진행과정이 그리 순탄하지 않을거라 맘고생 심하실거에요.
20/12/21 10:30
수정 아이콘
네 재건축은 포기하고 리모델링이라도 되면 다행일것 같아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365 [질문] 주소지 변경시 우편물 주소 변경 질문 [1] 치카치카5617 20/12/22 5617
151363 [질문] 자녀 휴대폰 구매 질문 [7] 구동매5677 20/12/22 5677
151362 [질문] 게임을 찾습니다.. 90년대후반 추정 올라가기/내려가기 간단한게임 [2] 하나둘셋5221 20/12/22 5221
151361 [질문] 컴퓨터 하나 맞추려고 합니다. [8] SaNa5517 20/12/22 5517
151360 [질문] 조립컴퓨터 구매 사이트 추천좀요 [4] 처음이란5042 20/12/22 5042
151359 [질문] 케스파컵 다시 보기 [4] 지옥천사6041 20/12/22 6041
151358 [질문] 롤 하려고 데스크탑 사려는데 너무 오바일까요? [17] 프로질문러7912 20/12/22 7912
151357 [질문] 스팀 rpg추천해주세요! [7] 시오냥7292 20/12/22 7292
151356 [질문] 철권에 나오는 백두산은 한국한정 이름인가요? [5] 거북왕8587 20/12/22 8587
151355 [질문] 모더나든 화이자든 AZ든 현재 한국에서 제일 빠르게 백신접종 가능한 시기가 언제인가요? [6] 요한슨7289 20/12/22 7289
151354 [질문] 데이트시 비용문제? [41] 삭제됨8524 20/12/22 8524
151353 [질문] 제가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에 속하는지 궁금합니다. [2] 삭제됨5714 20/12/22 5714
151352 [질문] 닉네임이 안 뜨는 익명게시판에서의 모욕죄 질문입니다. 이런 경우에 성립 가능한가요? [4] 삭제됨6311 20/12/22 6311
151351 [삭제예정] 소형 촬영기기에 있는 연결핀이 궁금합니다 [5] 포메라니안6941 20/12/21 6941
151350 [삭제예정] 핸드폰을 바꿀려는데 s20 fe어떤가요? [8] 훈타7378 20/12/21 7378
151349 [질문] 23일 5인이상 모임 금지조치시 음식점 이용 아예 안되나요? [7] 스타듀밸리6384 20/12/21 6384
151348 [삭제예정] . [1] 삭제됨5870 20/12/21 5870
151347 [질문] 초보운전자인데 2가지 질문좀요. [6] 종이컵5898 20/12/21 5898
151346 [질문] 외장하드가 인식이 안되는데 어떤 문제일까요? [2] 삭제됨4887 20/12/21 4887
151345 [질문] 삼국지 14 질문드립니다 [7] GoodLuck6644 20/12/21 6644
151344 [질문] 30대 직장인 보험 가입 한 번 봐주세요. [1] 기록가6851 20/12/21 6851
151343 [질문] 전기, 컴 알못인데요. 질문 있어요 [15] 까우까우으르렁7574 20/12/21 7574
151342 [질문] 학원에서 온라인 수업으로 사용할 웹캠 추천 부탁드립니다. [3] 플래쉬6120 20/12/21 61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