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28 14:02:27
Name jebal
Subject [질문] 영어 공부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이번에 대학원을 진학하게 되었는데 영어를 좀 많이 못해서...

영어 공부 조금이라도 하고 진학 해야할 것 같습니다.

특히 라이팅과 리딩 쪽을 중점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혹시 회원님들은 어떻게 공부 하셨는지 아니면 괜찮은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2/28 14:24
수정 아이콘
수능 수준 문법 강의라도 일단 정리하시는 게 좋을거라 봅니다. 라이팅이든 리딩이든 문장이 구성되는 법칙을 모르면 시작이 안되니깐요.

그 후에 라이팅은 실제로 본인이 주로 사용할 표현과 어휘들을 우선적으로 연습하면 좋습니다. 학술적인 라이팅에 주로 쓰이는 어휘/구문 표현 등이 어느정도 정해져있죠. 그리고 본인이 글을 쓸 때 주로 쓰는 혹은 선호하는 표현도 짧은 글이라도 좀 쓰다보면 정해져 있다는 걸 알게됩니다. 대학 교재나 논문 좀 보시고 남들이 쓴 에세이도 좀 참조해서 베껴 써보고, 거기서 요긴한 어휘나 구문 등을 추출해서 암기하면 도움이 될 겁니다. 물론 처음엔 내공이 얕기에 문장 구조가 단조로워진다는 단점은 있을지언정,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어쨌든 표현은 할 수 있게 만드는 단기 속성 코스죠.

리딩은 사실 어휘 / 문법 체계가 어느정도 갖춰지면 그 후론 경험치 싸움이죠. 많이 보고 연습하는 게 정도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수능 지문 길이 정도의 글을 문법적으로 완전히 분해해서 이해하는 연습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빠른 리딩을 해도 글의 구조가 자연스럽게 들어오는데 도움이 됐습니다.
20/12/28 14:4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수능 수준의 문법 먼저 공부를 해야겠네요...
토익/토플 책은 있는데 이정도 수준의 문법이면 괜찮을까요?
20/12/28 19:02
수정 아이콘
문법 공부는 깔끔하게 인터넷 강의 하나 듣는 걸 강추합니다. 혼자할 때 가장 효율이 떨어지지만 강의 효율은 가장 높은 것이 문법입니다.
20/12/28 22: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혹시 추천해주시는 강의 있으신가요?
20/12/29 20:54
수정 아이콘
사실 제가 배울 때 들었던 강의들은 지금 듣기엔 강의 화질이나 이런 부분들이 너무 조악하고 교재 구하기도 쉽지 않아서..그냥 최근 수능 1타 강사들 거 적당히 들으면 된다고 봅니다. EBS는 공짜라는 장점이 있지만 스튜디오 강의라 지루한 감이 있어서..어느정도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으시다면 수능 인강 들어보시는게 좋은 선택입니다. 요새는 메가스터디 조정식이나 대성 이명학이 유명한 것 같더군요. 이명학은 제가 공부할 때도 어느정도 유명하긴 했으나 들어보진 못했네요. 가셔서 쌩 어법만 가르치는 강의 말고 문법 활용해서 문장 읽는 연습 시켜주는 기초 강좌 하나 정도 들으시면 될겁니다.
깃털달린뱀
20/12/28 14:27
수정 아이콘
단어부터 모르시는거면 시중에 파는 단어장 너무 어려운거 말고 아무거나 사서 외우시고, 단어는 되는데 독해가 안 된다면 천일문 같은거 사서 해보세요.
문법책 붙잡고 하는 것보다 비슷한 구문 문장 직접 분해해 보는게 전 더 잘 맞더라고요.
20/12/28 14:41
수정 아이콘
문법책 붙잡고 있으면 지루하긴 하죠...
감사합니다!
야통이
20/12/28 14:44
수정 아이콘
중학교+ 정도의 문법 책은 하나 구비하시고 1회독 이상 하시고 필요할때마다 꺼내는 용도로 쓰시구요. 그 이상 영역에서 가장 무식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은 특정 텍스트의 통암기 기반 반복입니다.

비슷한 논지의 글 링크입니다

https://www.82cook.com/entiz/read.php?num=1217203
20/12/28 17:2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달달한고양이
20/12/28 15:16
수정 아이콘
대학원생이 되신다면 선배나 교수님께 좋은 논문을 추천받으셔서 읽어보시는 것도 병행해보세요. 논문 영어는 대체로 명쾌하고 어휘 등이 어느정도 한정적이어서 익숙해지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20/12/28 17:2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코로나 때문에 랩실 출근은 미루어져서 교수님께 한 번 여쭤봐야겠네요.
난할수있다
20/12/28 15:21
수정 아이콘
우선 리딩은 문법과 단어 싸움이죠. 열심히 읽고 독해하고 ..
라이팅은 하고픈 말을 한국어로 먼저 정리해서 영어로 바꾸는 연습이 제일 중요합니다
20/12/28 17:29
수정 아이콘
영어 일기 같은 것을 쓰면 라이팅에 도움이 될까요?
난할수있다
20/12/28 20:38
수정 아이콘
네 도움이 아주 직결적으로 됩니다. 많이 쓰세요. 다만, 교정을 해줄 사람을 옆에 두고 하는게 좋으니 원어민이나 영어 잘하는 분과 함께하시는게 옳게 가는 방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현직 영어강사 -
20/12/28 22:20
수정 아이콘
영어 잘하는 분...이 근처에 없는데 고민되네요....
학원을 가야하나...
난할수있다
20/12/29 11:39
수정 아이콘
만약에 제가 해드릴 수 있다고 하면 한번 고려해보실 의향이 있으실지요? 괜찮다면 쪽지 드려도 될지요?(먼저 주셔도 됩니다~!)
20/12/29 12:05
수정 아이콘
제안 감사드립니다! 최근 돈이 많이 빠듯해서 힘들것 같습니다. 흑흑,,,
난할수있다
20/12/29 15:32
수정 아이콘
네네~! 좋은 성과가 있길 바랍니다!
20/12/28 19:28
수정 아이콘
영어 원서를 독서하는건 어떨까요?
20/12/28 22:21
수정 아이콘
원서면 혹시 어떤것을 추천하시나요?
20/12/28 22:57
수정 아이콘
전문적인 영어를 하고싶다면 자기가 일하는/공부하는 분야의 원서를 읽는게 베스트고.

기초적인 영어를 공부하고자 하면 가벼운 소설 등이 있죠.
20/12/29 12:0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공부하는 분야쪽 책을 찾아봐야겠네요.
미카엘
20/12/28 22:33
수정 아이콘
이과이신가요? 라이팅과 리딩은 자기 분야 논문 열심히 읽다 보면 80%는 해결됩니다.
20/12/29 11:59
수정 아이콘
넵 이과 입니다. 근데 아직 논문 읽기에는 제 전공지식이 많이 빈약한 것 같습니다.
모르는 부분이 많아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617 [질문] 한글입력기(?)를 없애는 방법 알고 싶습니다. monkeyD5750 20/12/30 5750
151616 [질문] 오후 병원 진료 오전에 가면 진료를 못 받나요?? [6] 삭제됨5802 20/12/30 5802
151615 [질문] 나이든 어르신들이 주식공부를 시작한다면? [20] 꿀행성8206 20/12/30 8206
151614 [질문] 보더랜드 2 사양 질문드립니다. [5] Infrapsionic5522 20/12/30 5522
151613 [질문] 작품성 상관없이 몰입도 좋은 드라마 추천 부탁드립니다! [7] CastorPollux6448 20/12/30 6448
151612 [질문] Kof 하고싶은데 에뮬?어디서 받나요? [3] 본좌6057 20/12/30 6057
151611 [질문] 80대 아버지에게 넷플릭스vs와챠vs기타 등등 [13] MC_윤선생6143 20/12/30 6143
151610 [질문] 아마존 직구 카드비 결제처리 관련 궁금합니다 [4] halogen5113 20/12/30 5113
151609 [질문] 닌텐도 3ds에서 ds에서 사용하는 칩을 사용할 수 없나요? [4] 세종7112 20/12/30 7112
151608 [질문] 야숨과 풍화설월 (파엠) 관련 질문있습니다!! [9] 아줌마너무좋아5218 20/12/30 5218
151607 [질문] 그림 그리기, 트레이싱 관련 질문 [5] 파란샤프7864 20/12/30 7864
151606 [질문] 영어문법 문제로 가득한 교재가 있을까요? [6] 오지키5707 20/12/30 5707
151605 [질문] 카메라 질문입니다. [11] Daybreak5519 20/12/30 5519
151604 [질문] 아이패드로 할수있는 2인용 게임(보드게임)을 추천해 주세요 [4] funk8875 20/12/30 8875
151603 [질문] 복사 붙여넣기 단축키를 바꾸고 싶은데요 [20] 티타늄6440 20/12/30 6440
151602 [질문] 요즘 리얼포스는 구하기가 힘든가요? [12] 장헌이도6465 20/12/30 6465
151601 [질문] 루니툰은 언제부터 경쟁력이 떨어지기 시작했나요? [7] 샤르미에티미5499 20/12/30 5499
151600 [삭제예정] [스타벅스] 프리퀀시 교환 하실 분 계실까요?? [2] 삭제됨5543 20/12/30 5543
151599 [질문] 회사 출근 거리 관련 질문드립니다. [26] 피지알맨6299 20/12/30 6299
151598 [질문] 고등학교 출결이 취업에 영향을 미치나요? [19] 깔따구25277 20/12/30 25277
151597 [질문] 체력 훈련 관련글을 찾고 있습니다. [4] 끄엑꾸엑5401 20/12/30 5401
151596 [질문] 새 폰인지 확인하는 방법 [3] 정국5259 20/12/30 5259
151595 [질문] 정치자금 기부 하셨나요? (추천요청) [8] 승뢰4926 20/12/30 49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