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6/15 16:17:12
Name workbee
Subject 온게임넷 스타브레인 2회 감상
스타브레인 1회 때 반응이 좋아서 2회 얘기도 나올 줄 알았는데 없네요.

그래서 오늘 찾아보니까 이미 월요일에 2회가 방송되었더군요. 언제 하는지는

모르고 있었는데, 오늘이 금요일이니 4일이나 지났군요.

2회도 역시나 염보성 선수의 재밌는 입담과 민찬기 선수와의 조화가 빛난

경기들이었습니다. 삼성 칸 팀의 조합도 괜찮긴 했지만, 간혹 호흡이 안 맞다거나

아쉬운 부분들이 있었죠.

1경기는 처음부터 웃으면서 봐서 참 재밌었고, 2경기는 염보성 선수의 센스가 빛나 보였고

3경기는 초반 벌처 한기가 아쉬운 상황이었습니다.

스타브레인 2회에선는 염보성 선수가 방송을 의식해서인지는 몰라도 1회 때처럼 비방용어는

사용하지 않는군요. 그래도 재밌네요. 경기 시작하자 마자 자신과 상대 색깔부터 확인하는

것도 귀엽구요. 하하 스타리그보다 더 기대되는 프로그램입니다.

못보신 분들은 찾아 보세요~

추신: 프로게이머니까 게임만 잘하면 되겠지만, 외적인 어떤 요소가 작용했을 때

선수들에 대한 호감이 더 증가하는 것 같습니다.

예전 이승훈 선수 욕 많이 먹었는데, 요즘에 시원한 경기모습을 보여주고 화끈한 세레모니를

통해 사람들의 호감을 얻어냈죠. 게다가 요번 온게임넷 VJ 역활을 한 광고(?)에 나오는 모습도

멋졌구요.

염보성 선수도 예전부터 귀여운 이미지는 있었지만, 이번 스타브레인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더 관심이 가게 되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6/15 16:32
수정 아이콘
참 아쉬웠죠. 이미 1회때 나왔던 전략인데 올인을 택하다가 말리고 만 마지막경기 ㅠㅠ
07/06/15 17:11
수정 아이콘
안돼 안돼 들어가지마.....

오..잘했어..


염보성 선수 너무 웃기더군요.
정말 동생 삼고 싶을 정도로 급호감.
겜도 잘하고 말도 잘하고 거기에 웃기고..
마녀메딕
07/06/15 17:45
수정 아이콘
최수범 선수도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선한 외모마큼이나 목소리도 참 따뜻하게 들리더군요.^^ 삼성응원했는데 아쉽습니다.
이런 형식으로 올스타전에서도 봤으면 좋겠습니다.
07/06/15 18:41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것 참 재밋게보는데요..
전 한번 선수+해설자 조합으로 스타브레인 해봤으면 좋켓어요.
해설자분들 누구나 한 입스타 하시니까^^ 진행도 매끄럽고 보기도좋치 않을지..식신이 얼마나 잘하실지도 기대가되고..

슈퍼파이트에서 해설자브레인 최강전 이런거하면 재미없을라나요^^:
나른한 오후햇
07/06/15 20:13
수정 아이콘
저도 해설자들이 참가하면 참 재미있을 것 같네요. 하지만 스타 브레인을 보니 프로게이머의 판단력과 경험은 정말 신의 경지라는 걸 새삼 다시 느끼게 됐습니다. 3회 SK의 박용욱+도재욱 조합과의 경기 엄청 기대 중입니다.^^
Canivalentine
07/06/15 20:16
수정 아이콘
1화때 염보성선수 거침없이하이킥~ 하던 멘트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097 침묵하자... [19] forgotteness6993 07/06/17 6993 0
31096 혹시나 있을 중국 유학생들을 위한 스타 즐기는법 [10] 불타는 저글링8571 07/06/17 8571 0
31094 2007시즌. 최강 팀플조합들의 성적. [12] Leeka4803 07/06/17 4803 0
31093 T1의 융통성없는 선수 선발 방식은 바뀌어야 합니다. [10] 모짜르트5113 07/06/17 5113 0
31092 팀의 문제일까요? 아니면 김성제 선수가 잘못한 것일까요? [7] 마빠이5696 07/06/17 5696 0
31091 '가위바위보'에 대처하는 강자들의 자세 [50] Forgotten_6734 07/06/17 6734 0
31090 티원의 연습과정의 문제점이 있지않을까.. [22] 미라클신화5079 07/06/17 5079 0
31088 테란은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18] aura4058 07/06/17 4058 0
31087 한동욱 선수의 플토전 그렇게 못하지는 않은것 같은데요. [25] DarkSide4835 07/06/17 4835 0
31086 HERO의 승리와 T1의 패배 [25] 씨즈5965 07/06/16 5965 0
31085 [건의] 패한팀의 선수와 감독의 인터뷰도 듣고 싶습니다. [38] Que sera sera5145 07/06/16 5145 0
31084 ESWC 2007 한국 대표 선발전 - 워3/카스 결승 방송 안내 Gplex_kimbilly3455 07/06/16 3455 0
31082 프로리그 종족전 경기수와 승률 [13] 협회바보 FELIX4877 07/06/16 4877 0
31081 SKT1 전기리그는 답이 없어 보이네요 [64] 까리7393 07/06/16 7393 0
31080 양리그 8강진출기점 양대리그순위기준 랭킹 [5] 信主NISSI4664 07/06/16 4664 0
31079 태란의 대 프로토스전 고스트 활용법 중간점검. [14] newromancer4511 07/06/16 4511 0
31078 괴물과 투신 조합. [5] 주식갬블러4555 07/06/16 4555 0
31077 앞으로의 스타판을 이끌어갈 인물들 [8] aura4595 07/06/16 4595 0
31076 [관전평] Daum 스타리그 16강 6주차 경기 [7] ls5782 07/06/16 5782 0
31075 테란 VS 안티테란. 양대리그 16강 결과는? [60] Leeka4603 07/06/16 4603 0
31073 왜 김택용선수의 테란전이 약하다는거죠?... [53] 삭제됨5912 07/06/16 5912 0
31072 딱히 김택용, 마재윤을 이길 테란이 떠오르지 않는다 [93] Zenith80210482 07/06/16 10482 0
31071 한동욱선수의 패인은? [13] 태엽시계불태5012 07/06/16 501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