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03/20 22:29:33
Name Poe
Subject [스타1] 낭만 넘치던 25년 전 승부 (수정됨)
2000년의 일이다. 미루고 미루던 영장이 언제 나올지 몰라 늘 두근대며 살던 나이였다. 당시 내 삶을 송두리째 뒤흔든 건 스타크래프트. 인터넷이라고는 대학교 컴퓨터실에서나 제한적으로 맛볼 수 있던 작은 변두리 국가에서 살다가, 골목마다 PC방이 있는 한국에 이제 막 도착했던 터였다. 컴퓨터만 패는 것에 시들해졌다가 사람 대 사람이 붙는 새로운 세계에 눈을 떠버렸기 때문이다. 게다가 낭만의 때였다. 정형화 된 빌드오더나 유닛 컨트롤 개념이 상식처럼 굳어지지 않았었다. 모두가 자기 하고 싶은 대로 했다.

자려고 누우면 낮에 했던 게임이 떠오르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 빌드를 짜고, 짠 빌드를 집에서 컴퓨터 상대로 실험해봤다. 그래서 손에 익으면 PC방으로 가서 사람을 상대로 써먹었다. 그런 날들을 수없이 반복한 끝에 나는 드디어 최강의 프로토스 빌드를 손에 넣는 데 성공했다. 지금에 와서 이름을 붙이자면 초패스트 멀티 투게이트 캐리어? 공방(헌터스+로템) 승률도 꽤 잘 나왔었다.

25년만에 이 초특급 빌드를 공개한다.
1) 9 프로브까지 생산
2) 400모아 넥서스
3) 100모아 파일런
4) 투 게이트 + 포지
5) 적당히 캐넌과 질럿으로 방어
6) 테크 올려 캐리어 생산
7) 시간과 돈 남을 때마다 투 게이트에서 드라군 생산(캐리어가 비싸니 게이트를 두 개 유지하는 게 핵심)

이 빌드로 나이 차 한참 나는 사촌동생들을 제압하고 승승장구했던 나는 어느 날 로템에서 한 테란을 만났다. 나는 2시, 상대는 8시였다. 느지막히 정찰을 갔을 때 깜짝 놀랐는데, 그 나약한 테란 따위로 앞마당을 먹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때 테란들은 대부분 벙커를 입구 쪽에 여러 개 박고 시작했었다.) 하지만 9프로브로 넥서스 박은 다음 캐넌 부지런히 짓고 있던 내가 할 수 있는 건 훗날의 캐리어를 기약하는 것 뿐이었다.

하지만 테크가 순조롭게 올라가지 못했다. 상대가 앞마당 자원의 힘 때문인지, 별별 공격 유닛들을 다 만들어내면서 중앙 진출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나올 때마다 뭔가 조금씩 달랐는데, 꽤나 위협적이었다. 마린 파이어뱃 레이스가 섞이기도 했고, 탱크와 골리앗이 띄엄띄엄 줄서서 나오기도 했다. 나는 오로지 드라군으로만 막았다. 두 게이트에 생산 예약을 잔뜩 걸어두고 있었기에 캐리어에 쓸 자원이 없었다.

내 두 게이트들의 랠리는 전부 맵 중앙에 찍혀 있었는데, 상대가 한 줄로 끌고 나오는 그 별별 공격 유닛들을 의도치 않게 학익진으로 맞이하게 됐다. 지금 생각하면 우리 둘은 이미 그 때 클래시로얄을 하고 있었던 것 같다. 나는 게이트 랠리 컨트롤로 맵 중앙에 박격 내지는 석궁을 깔고 있었던 것이고, 그는 넘쳐나는 엘릭서를 가지고 그 때 그 때 쿨 차는 대로 카드를 냈던 것. 그리고 맵 중앙의 자동 전투를 둘이 긴장한 채 지켜보고 있었던 것이다.

그 자동 전투는 아슬아슬했는데, 늘 내 드라군들이 서너 마리 살아남는 것으로 끝났다. 나는 부랴부랴 생산 예약을 걸고, 혹여 모를 상황에 대비해 멀티 입구 쪽에 캐넌을 한두 개 추가했다. 그가 뭘 했는지는 지금도 모르나, 확실한 건 우리 둘 다 더 이상 확장 기지를 가져가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만큼 막상막하의 숨 막히는 시간이었다. 사실 나는 예약 생산만 하면 됐기에 왜 그 때 숨이 막혔는지는 모르겠다. 상대는 그래도 유닛 모아 어택 땅이라도 찍었으니 인정.

결국 그 쪽이 먼저 항복을 선언했다. 상대는 GG를 치면서 “와, 물량이 어마어마하네요”라는 식으로 칭찬했다. 상대 조롱이 흔치 않던 시절, 나 역시 예의를 갖췄다. “게이트 쉴 새 없이 돌렸네요.” 그는 궁금했다. “게이트가 몇 개였어요?” 말 못할 이유가 없었다. “두 개에서 한 번도 안 쉬었네요.” 그는 납득했다. “아, 역시.” 그는 게임이 끝날 때즘 몇 개의 배럭과 팩토리를 보유하고 있었을까? ‘아, 역시’라는 힌트만 남긴 그는 그대로 나에게 승을 주고 사라졌다. 우린 다시 만나지 못했다.

25년이 흘렀다. 이제 아이들이 제법 컸는지, 묻는 단어의 수준이 높아진다. 어느 날은 ‘낭만적’이 뭐고, ‘낭만’이 뭐냐고 딸 아이가 물었다. 그 순간 내 머릿속에는 까맣게 잊혔던 그 날의 승부가 떠올랐다. 말한들 딸 아이가 이해할 리 없는 낭만의 예시에 나만 웃고 말았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리기
25/03/20 23:21
수정 아이콘
말 없이 올라가는 추천수...
누구에게나 가슴 속에 낭만겜 한판 정도는 있는 거잖아요!
열씨미
25/03/21 00:02
수정 아이콘
저도 불과 몇일전에 5살 딸아이가 아빠 낭만이 뭐야? 라고 물어보는데 말문이 막혔던 경험이 있습니다 크크크
글 재밌게 잘쓰시네요! 저도 당시에는 비슷한 저만의 무적 전략이 있었던것 같습니다.
Winter_SkaDi
25/03/21 11:59
수정 아이콘
??? : 애한테 뭐 이상한거 가르치고 있지 또! 쓸데없는 말 하지 말고 이거나 좀 도와줘!
조율의조유리
25/03/21 13:07
수정 아이콘
빌드 적으신거 보니깐 옛날 생각 납니다.. 여기랑 와고 매일 다니면서 새 빌드 나오면 가장 먼저 외워서 써먹고 그랬는데 크크크크
잘 읽었습니다!
及時雨
25/03/21 15:43
수정 아이콘
이게 피지알이다.
프로미스나인
25/03/21 16:02
수정 아이콘
와 이런 글들 자주 써주세요
이런거 보려고 여기 오는건데
매일 들어와보길 참 잘한 거 같네요
간만에 낭만 감성 채우고 갑니다!
지탄다 에루
25/03/22 01:38
수정 아이콘
크 낭만이네요
여기에있어
25/03/22 10:04
수정 아이콘
저에게 낭만은 게임방에서 친구들이랑 4:4 혹은 3:3으로 빅게임헌터 하던 시절입니다. 그때 한 친구가 자기는 마린 6마리만 있으면 발업안된 저글링 한부대도 잡을 수 있다고 자랑했었는데...

이젠 아들한테 스타 관람법을 가르쳐주고 싶은데 몇살쯤 가능할랑가요? 어린 시절에 아빠가 저한테 바둑을 가르치려하셨는데 저한테는 너무 재미없던 기억이 있어서 아들한테 스타 가르치는 것도 그런건가 싶기도 하네요.
25/03/22 13:09
수정 아이콘
크으....좋습니다
날지않는돼지
25/03/23 13:10
수정 아이콘
좋습니다 좋아용
Winterspring
25/03/23 22:27
수정 아이콘
게이머라면 누구에게나 정말 기억 속에 남는 게임이 몇 개 있죠.
스타는 아니지만, 저는 워3에서 타워 러쉬 꾸역꾸역 막고 역전한 게임이 아직도 기억나네요. 그 때의 희열이란...
The Greatest Hits
25/03/25 10:33
수정 아이콘
저테전 엄청 장기전이어서 정신줄 놓고 있는데
어떻게든 모은 디파일러 저글링 럴커로 멀티 더하게만 꾸역꾸역 막으면서
지지를 받아낸 내 인생 최고의 경기가 ....
20년이 넘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02256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72794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39796 13
81030 [스타1] [이스포츠 연구] 이스포츠 노스탤지어가 관여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6] 두리득5968 25/03/22 5968 0
81024 [스타1] 낭만 넘치던 25년 전 승부 [12] Poe4115 25/03/20 4115 45
80995 [스타1] ASL 시즌 19 24강 조편성.jpg [32] insane8165 25/03/12 8165 4
80858 [스타1] 종족최강전 오후 9시부터 결승 진행합니다! (쇼츠+영상 업데이트) [2] HLSJ14148 25/01/26 14148 2
80804 [스타1][데이터] 망할 생성형 인공지능의 한계와 Lights Out 퍼즐의 풀이에 대하여 [8] TempestKim9855 25/01/04 9855 11
80778 [스타1] 캠페인 노데스 런(!)에 대하여 [23] Keepmining13085 24/12/21 13085 1
80774 [스타1] 스타크래프트 1 공식전 후기 시절 경기들을 다시보고 느낀 소감 [34] 독서상품권10201 24/12/20 10201 4
80765 [스타1] 스타크래프트 K-Evo 대회 참여하실 스타1 클랜 모집합니다!(참가 클랜 100% 상금 지급) [1] HLSJ9408 24/12/16 9408 2
80605 [스타1] 3연벙 X 20 [7] SAS Tony Parker 6672 24/11/13 6672 0
80577 [스타1] [스타1vs스타2] 일요일(11/10) 오후 9시에 K-Evo 대회 결선 진행합니다! [1] HLSJ12909 24/11/06 12909 1
80553 [스타1] [스타1vs스타2] 잠시 후 9시부터 K-evo 리그 2차 예선 진행합니다. [2] HLSJ5108 24/11/03 5108 3
80532 [스타1] [스타1vs스타2] 오늘 오후 9시부터 K-evo 리그 진행 중 [2] HLSJ6399 24/11/02 6399 2
80444 [스타1] 저그 최고의 유닛 뮤탈리스크 [26] 럭키비키잖앙6852 24/10/25 6852 3
80441 [스타1] 기억을 더듬어 본 뮤탈 뭉치기의 유래 [16] 빵pro점쟁이6928 24/10/24 6928 13
80434 [스타1] [스타1vs스타2] 대회 참가 신청을 받습니다! HLSJ4363 24/10/24 4363 1
80430 [스타1] 마린 공격력을 5로 너프한다면 [67] 투명인간9842 24/10/23 9842 0
80304 [스타1] 스타1vs스타2 모드 마인/럴커 겹치기 구현 [2] 한루나7749 24/09/30 7749 0
80186 [스타1] 스타1vs스타2 모드에서 뮤짤(뭉치기)을 구현했습니다! [4] 한루나9879 24/09/09 9879 1
80072 [스타1] 스타1vs스타2 모드의 경기 양상과 K Edition 운영 소회 [4] HLSJ40255 24/08/23 40255 16
80041 [스타1] [펌] 스타1판에서 올드게이머와 드래프트 출신들의 차이가 급격히 벌어지기 시작했던 시점 [10] 보리야밥먹자8000 24/08/18 8000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