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5/06/02 19:51
프로그래밍에서 변수 이름은 '최대한 자세히 다른사람이 봐도 알수 있을 만한 이름'으로 해야 하는게 정석입니다.
예를 들면 숫자를 담을 박스 iNumberBox; 이런 식으로 누가봐도 아 이건 넘버, 박스랑 뭐가 연관이 있겠구나~ 하고 생각할 수 있도록요 만약에 질문자 처럼 변수 이름을 A,B,C 라고 하면 나중에 작업량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뭐가뭔지 감당을 할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그 답변자가 센스 넘치게 A(글쓴이)야, H(이거) B(읽다)하면서도 J(정말) G(문제)가 ~D(있다의 반대, 없다) 라고 C(생각하)면 I(다시)K(한번) C(생각)해 F(보다)길 E(바래) 라고 답변했는데, 밑에 주> 라고 주석 달아놨어도 읽기가 정말 까다롭죠. 센스넘치는 답변입니다. 스피드웨건 그건 모르겠고 설명끝났으니 똥싸고 올게요
15/06/02 21:58
워닝 따위, 일단 돌아가면 무시해도 되는거 아닙니꽈? 아니, 처음 돌렸는데 워닝만 좀 뜨고 에러없이 돌아가면 그게 더 두려운건가...
15/06/02 23:24
글쎄요... 다만 다음맵 API에서는 그러한 모습은 보이질 않더군요. 난독화하는 방법을 인위적인 방법을 통해서 그렇게 한걸 수도...
15/06/02 23:25
디클립스로 확인했는데 다음 API에서는 그런 모습은 보이질 않은걸로 봐선 네이버API에선 내부적으로 그렇게 수정을 한 것 같습니다.
일단 네이버 API는 기본적인 틀은 구글맵API(2.0 이전의)와 흡사했었습니다.
15/06/02 23:27
안군님이 말씀하신 Obfuscation이 그 난독화 인것 같은데 검색해서 알 수 있는 일반적인 암복호화는 다르게 그냥 모든 변수들을 저런식으로 한걸 봐선 API 생성시에는 적당한 변수명을 사용하다가 배포전에 일괄적으로 변수의 명을 한개 내진 2개의 알파벳 형태로 바꾼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15/06/04 07:03
Minification 용도 입니다. 읽기 어렵게하는 obfuscation은 아주 작은 목적이고(보안이슈라고 해봐야 어짜피 소스 공개는 불가피..), 더 큰 목적은 웹성능 개선을 위해서 변수명을 최대한 짧게 만들어주는 minification입니다. 그렇게 도와주는 대표적인 툴은 YUI Compressor나 구글 클로져 툴가 있는데 자비스크립트 상용에 배포할때 기본으로 돌리고 배포되도록 넣어주는게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