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14 23:27:46
Name 종이컵
Subject [질문] 세무사랑 중등임용 시험 난이도로 치면 어디가 더 힘든시험인가요?
대한민국에서 특정 직업이 되기 위한 여러가지 시험이 있잖아요.
과거에 사법고시,행정고시,외무고시라는 3대 고시라고 불리던 시험은 지금은 없어지거나
5급시험이라고 불리고 있고, 7급,9급,경찰,소방공무원,회계사 등등이요.
물론 다들 중요한 직업이고 각각의 업무에 종사하시는 분들 존중합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시험 난이도가 차이가 있기는 하잖아요.

친구랑 얘기하다가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요.
세무사랑 중등임용에서 시험의 난이도가 어떤 시험이 더 어려울까요?
교사와 세무사라는 직업에 장단점이 아니라, 단순히 그 시험이 되었을때 주위에서
와 어려운 시험 되었구나. 대단하다라는 평가 등에서 더 힘든시험이 어떤 시험일까요.

두 분야가 다른 분야라서 둘 다 동시에 아시는 분은 잘 없겠지만, 대중의 생각이 어떨지
여쭙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혜리
20/12/14 23:34
수정 아이콘
밸붕 세무사일 것 같은데, 일단 공부해야 하는 범위 자체가 차원이 다르지 않아요??
아엠포유
20/12/14 23:35
수정 아이콘
CTA죠. 비교 불가라고 생각합니다.
볼레로
20/12/14 23:40
수정 아이콘
제가 두 시험을 잘 아는건 아닙니다만
중등임용이 세무사 시험만큼 어려우면 사범대 갈 사람 거의 없을겁니다.
모르는개 산책
20/12/15 00:44
수정 아이콘
222
곰그릇
20/12/14 23:43
수정 아이콘
세무사가 훨씬 어렵죠
맥주귀신
20/12/15 00:26
수정 아이콘
엥 당연히 중등임용이라고 생각했는데
제 생각이 잘못된걸수도있었군요
20/12/15 03:21
수정 아이콘
임용시험은 TO없음의 막막함이 큰거지

세무사 2차 세법시험 난이도를 이길 수는 없습니다.
20/12/15 09:49
수정 아이콘
중등은 임용과목과 TO에 따라 난이도가 천차만별이라..
StayAway
20/12/15 10:39
수정 아이콘
단적으로 말씀드리면 변시에서도 세법을 선택과목으로 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TO가 적고 경쟁율이 높은걸로 따지면 9급 일행이 최강이겠지만
그렇다고 9급이 다른 고시급 시험보다 어렵다고 하는 사람은 없죠.
EffortLucks
20/12/15 10:45
수정 아이콘
세법 하나로 어지간한 임용과목 2개는 가볍게 퉁칠 느낌인데.. 넘사입니다.
앙몬드
20/12/15 10:51
수정 아이콘
공부량 묻는게 아니고 합격난이도를 묻는 질문 같은데 당연히 티오나 경쟁률 다 포함해서 답변해야죠
곰돌이푸
20/12/15 10:57
수정 아이콘
2차 세법학과목이 양이 많고 어렵습니다.
주파수
20/12/15 11:04
수정 아이콘
변수 다 포함해도 밸붕.
빛나는이름
20/12/15 12:55
수정 아이콘
저도 중등임용이 더 어려운줄 알았는데 아닌가보네요?
20/12/15 16:31
수정 아이콘
아니 그래도 1.5~2티어 전문직 시험인데 세무사가 너무 무시당하는 듯 ㅠㅠ
바람기억
20/12/16 14:04
수정 아이콘
갑자기 그게 생각나네요. 어디서 봤는데, 세무사급으로 순경시험이 요즘 어렵다고 현직순경이 그런 말을 했다는군요. 저 그거 보고 너무 황당했습니다.. 미안한 얘기지만 교순소는 9급 중에서도 최하위급이거든요. 질문 자체는 당연히 '세무사'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182 [삭제예정] 30대 후반 공무원 신입 적응하기에 문제 없을까요? [15] 메모박스11844 20/12/16 11844
151181 [질문] 500ml 생수에 타 먹을만한거 없을까요? [14] 레너블8577 20/12/16 8577
151180 [질문] 10만원대의 저소음 기계식 입문용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nekorean5805 20/12/16 5805
151179 [질문] 엘리베이터에서 본 한문글이 있는데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2] Rain#15153 20/12/16 5153
151178 [질문] 치킨너겟이랑 가라아게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3] Skyfall5324 20/12/16 5324
151177 [질문] 닌텐도 스위치 라이트 게임 추천 부탁드랍니다. [11] 클레멘티아8518 20/12/15 8518
151176 [질문] 천만원으로 중고차 사려면 어떤차를 살까요? [17] 바람의여행기6970 20/12/15 6970
151175 [질문] 얼마전부터 크롬에서 파일 다운로드가 안 되는데... [2] wook984816 20/12/15 4816
151174 [질문] 건성두피용 샴푸 쓸만한게 있을까요? [6] 계속이끌기5693 20/12/15 5693
151173 [질문] 컴퓨터 내 습기 제거법 [8] 틀림과 다름6853 20/12/15 6853
151172 [질문] 동기들에게 단톡방에 초대해달라고 할필요가 있을까요?? [16] 비타에듀9046 20/12/15 9046
151171 [질문] 생애최초/ 신혼부부 특공 소득제한 질문입니다. [8] 봄날엔5879 20/12/15 5879
151170 [질문] 스페이스힙합덕 애니메이션의 원작인 게임을 아시는분 계신가요? [5] 아츠푸5469 20/12/15 5469
151169 [질문] [LOL] 일반 상자 까서 펄스건 이즈리얼 나왔어요. [9] Lewis5806 20/12/15 5806
151168 [질문] 출장갔다가 돌아와서 자가격리하려고 하는데 분란유도자5179 20/12/15 5179
151167 [질문] 다들 사펑2077 어떠신가요? [21] 여행가요7368 20/12/15 7368
151166 [질문] 건강을 위해 챙겨먹어야할 야채는? [3] 아니그게아니고5570 20/12/15 5570
151165 [질문] 슈퍼로봇대전 V 재미있나요? [10] 及時雨5627 20/12/15 5627
151164 [질문] cpu 쿨러와 그래픽카드 사이 간격이 없어도 되나요? [3] 유이아5272 20/12/15 5272
151163 [질문] 이문열 영웅시대를 읽고 싶습니다 [5] coolasice4544 20/12/15 4544
151162 [질문] 5만원 미만 무선이어폰 추천좀해주세요 [17] 김리프6855 20/12/15 6855
151161 [질문] 아파트 화재보험 문의드립니다. [4] 사다드5016 20/12/15 5016
151160 [질문] 일산 가격대 상관 없이 좋은 식당 있을까요? [6] Scouter5279 20/12/15 52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