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5/16 23:24:43
Name 내설수
Link #1 http://mlbpark.donga.com/mp/b.php?p=1&b=bullpen&id=201903010028310099&select=&query=&user=&site=&reply=&source=&sig=h4aRGY-Y63aRKfX2hgj9Sg-g4hlq
Link #2 http://mlbpark.donga.com/mp/b.php?p=1&b=bullpen&id=201903010028315652&select=&query=&user=&site=&reply=&source=&sig=h4aRHltgghRRKfX2hgj9Sg-g4hlq
Subject [연예] 일본 평론가의 시선으로 본 한류 k-pop가 세계로 뻗어가는 이유
전형적으로 한류나 k-pop이 일본으로 진출한 이유로 이야기하는 것들이
"한국은 일본에 비해 국내 시장이 작기 때문에 외수, 특히 세계 2 위의 음악 시장을 가진
일본에서 활로를 찾았다"라는 것.

" 세계 제 2 위의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본은 다른 나라로 나갈 필요도 없고
가야 할 시장도 없다. 한국은 시장이 좁기 때문에 해외로 나가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의 주간동양 경제 잡지 2005 년 9 월 24 일호에  sm 이수만도 이렇게 인터뷰)

jyp 의 박진영도 그렇게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팩트'보다는 k-pop 관계자들이 '믿음'일 뿐이다.


그렇다면
"만일 내수 시장이 작기 때문에 외수을 추구한다" 는 이론이 음악 산업에 성립된다면
북한의 음악이 중국과 러시아에 먹혀 들어야한다.


대만이나 베트남, 몽골 등의 음악도 k-pop 처럼 일본에 진출하고 있고
또는 과감하게 진출을 시도 하고 있지만, 현실은 k-pop 처럼 할 수가 없다.

2017년 세계 무역 의존도 (GDP 대비 수출 비율)를 보면
1 위 홍콩,  2 위 싱가포르, 3 위 베트남이며, 한국은 45 위고 일본은 137 위이다.

하지만 2000 년대 이후 무역 의존도에서 한국과 엇비슷하거나
또는 현재  한국보다 훨씬 의존도가 심한 나라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과거도 현재도 k-pop의 음악 수출처럼 할 수가 없다.


'내수시장이 작기 때문에 해외 진출 '이라는 이론은
세계 제 1 위의 내수시장을 가진 미국이 세계 최대의 콘텐츠 수출국인데
단순한 이유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한국에서도 미국 음악이 많이 소비되고 있고, 아이돌들이 미국음악을 라이브로 커버하거나
데뷔 전 연습생들이 미국 음악으로 춤 연습 등으로 많이 소비하는 것은 k-pop 팬에게는 상식적인 일이다.

왜 음악 시장이 작은 한국으로 세계 제 1 위의 내수시장을 자랑하는 미국 음악이
한국으로 흘러 들어가는지?

이러한 '사실'에서 보듯이 국가 단위로보면 내수시장의 크기와 수출 의존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k-pop은 내수가 작기 때문에 해외진출을 추구하고,  j-pop은 내수시장이 크기 때문에
해외로 진출할 필요가 없다"는 이론은 한일 양국 간 비교에서는 그럴듯하게 들리지도,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보면  깨져버리는 폐품 이론이다.

또한 이러한 이론이 맞으려면 지금은 세계 제 6 위의 음악 시장으로 성장한 한국보다
시장이 작은 동남아나 남미, 중동 등 신흥 시장도 k-popP의 진출이 최근 활발 이유로도
설명하기 힘들다.


"한국은 큰 시장 인 일본의 주요 도시까지 서울에서 비행기로 2 ~ 3 시간 밖에 걸리지 않으니까 진출하지 않은 수 없다"며 "거리"를 이론에 제기하는 사람도있는데

그럼, 왜 북경이나 상하이, 타이페이에서도 일본까지 3 ~ 4 시간 밖에 걸리지 않는데,
중국, 대만은 일본으로의 진출이 한국만큼 활발하지 않는가?


전혀 설명되지 않는 폭론이다.


비슷한 얘기로 "한국에서는 음원의 불법 다운로드가 횡행하고 국내 시장이 궤멸 되었기 때문에
해외로 나갈 수밖에 없었다" 는 말도 한다.

후루야씨의 ALL ABOUT K-POP(소프트 뱅크 크리에이티브, 2010)에 따르면
한국에서 불법 다운로드로 인한 피해가 눈에 뛴 시기는 2001년부터이며,  
2006년에는 2000년의 10 분의 1의 시장 규모로 급감했다고 한다.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이돌 그룹 HOT가  한국에서 사회 현상이 되었고
중국에서 인기가 폭발 한 것은 시점은 1997 년 (베이징 공연은 2000 년)이며,
BoA가 일본에 진출하고, 여성 아이돌 유닛 SES가 일본에 진출한 시기는 1998 년.
즉, 한국의 k-pop은 불법 다운로드가 횡행하기 이전부터 해외 진출을 시작했다.


따라서 "불법 다운로드 때문에 외국에서 활로를 찾았다"는 논리는
시계열적으로 생각하면 성립되지 않는다.


그럼 왜 K-POP은 왜 해외에 진출하는 것인가?

이수만이나 박진영이 투자자나 취재진 등 미디어를 납득시키기 위해 시장의 크기를 꺼낸 것일 뿐,
사실은  "한국 밖에서도 인정 받고 싶다 " 는...
아시아권을 비롯 미국 등 월드 와이드로 활약하는 스타를 만들고 싶다는
그들의 "꿈" 과  "인기나 명성에 대한 갈망 "이 먼저였다는 것이 나의 진단이다.


과거의 SM의 중국 진출,  JYP의 미국에 대한 집착을 보면
K-POP의 해외 진출은 경제적인 이유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SM은 " 아시아 기업이며, 아시아 가수를 만드려고 합니다." (동양경제 이수만 인터뷰에서)는
이말을 반복해왔다.
그들에게는 일본 진출이 단순히 "시장이 크기 때문" 이라는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선진국이란 정의를 말하는 것은 어렵지만, 일본이 대중 문화의 선진국인 것은 분명하다.
물의 흐름을 거스르기는 힘드니 모터가 필요했다.  
S.E.S.의 일본 진출을 시도한 후 어학은 필수임을 통감하고 BoA에게는 노래, 춤과 함께
일본어 교육을 철저히 시켰다.  " 라고 말한다.


90 년대까지는 아시아권 사람들에게 일본 음악은 동경의 대상이었다.
예를 들어 이수만은 사이죠 히데키, 박진영은 코무로 테츠야와 쿠와타 케이스케들을 존경한다는
발언을 여러번 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SM이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 진출에도 적극적이었다는 것이다.
그것도 중국 경제의 거대함을 누구나 의식하지 않을 수 없게 된 2010 년대가 아니라
1990 년대 말부터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SM이 만든 한국의 첫 세대 아이돌인 HOT가 2000 년에 한국 가수 최초로 베이징 단독 공연을
성공시킨 이후,  
2004 년에는 동방신기에 중국인 멤버를 포함시키려고 했고 (팬들의 반대에 의해 좌절)
이후에도 SUPER JUNIOR와 EXO는 Manradin (중국)을 의미하는 M 팀을 편성하기도 했으며
f (x)에 중국인 멤버를 넣는 등 , 중국이 특별한 위치의 존재였음이 느껴진다.


일본 진출에 관해서는 CD의 단가가 한국보다 높고, 많이 팔리는 돈벌이 때문에 진출한다는
설명을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중국은 2000년대까지 해적판의 천국이며, 국제 레코드 비디오 제작자 연맹 (IFPI) 조사를 보면
2017년에 한국의 494.4 억엔보다 낮은 259.4 억엔 밖에 안되는 음악 (음반, 음원, 저작권 등) 시장이었다.


2017 년의 한국의 음악 공연 산업 매출이 한국 콘텐츠 진흥원 발표를 보면
약 9300 억 원 = 약 930 억엔 인 반면에,
중국 연출산업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489.51 억 위안 = 약 7832 억엔이며,
라이브 시장에서는 중국이 한국을 크게 웃돌고 있다.

그러나 SM이 진출을 시작한 90 년대 후반부터 중국의 라이브 시장이 거대했던 것은 아니다.



이수만은  "징기스칸도 프랑스까지는 가지 못했다.  한류는 간다. 정복한다",
"미국은 과정에 불과하며 최종 목표는 중국이 5 년 이내에 세계 최고 될 것"이라고
2011 년 6 월 SM TOWN LIVE 파리 공연을 앞두고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2018 년 10 월에 SM 소속의 NCT127이 라틴 느낌의 "Regular"를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에서 선보이며
미국 TV 프로그램에 진출하는 등 본격적인 북미 데뷔를 해서 화제를 불렀왔지 만,
그래도 이수만씨에게는 미국은 과정에 불과한 것이다.


중국 역사상 최대의 영토를 획득한 징기스칸을 인용하는 이수만씨의  중국에 대한 의식의 크기 -
"단순히 시장보다는 지정학적,  문화적 의미도 포함한 존재로서의 거대한 함" 이 비쳐 보인다.

고려가 징기스칸이 건국한 원나라에 얼마나 시달리고 조공품으로 여자도 헌상해야 하는 굴욕을 맛보았는지
한국의 드라마나 영화에서도 그려져 온 모습을 일본인도 잘 아는 사실이다.


한국과 중국의 역사적 관계를 생각하면,  이수만의 발언에 담긴 의미는 가볍지 않다.
그 중국을 제패하는 것, 문화, 경제를 뛰어넘는 이수만의 꿈이 있었던 것이다.


SM에게 중국이 경외와 공략의 갈망이 된 것처럼 JYP에게는 미국이 있었다.

한국에서 "미국의 가수가 아시아 작곡가가 곡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고
말들하는 것이 것이 콤플렉스였다고 한다.
JYP 대표 박진영은 LA로 건너가 데모 테이프를 팔아 2004 년에 윌 스미스의 앨범에,
그 후에도 Cassie, Mace에 곡을 제공하고  3 년 연속 빌보드 10 위권 앨범에 곡을 제공했다.
(닛케이 엔터테인먼트 닛케이 BP, 2011 년 10 월호).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박진영은 자신이 "한국의 마이클 잭슨"로 불리는 히트 가수이며
작곡가로서 이미 성공을 거두고 있었다는 것이다.

충분한 명예와 지위를 얻고 있는데, 뼈 아픈 실패를 하고 비웃을 받을지 모르는 위험을 안고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국내에서 연기자와 프로듀서로 활동하는 것 보다 압도적으로
효율이 나쁜 것이 눈에 보임에도 불구하고 미국 진출을 시도한 것이다.


그때 박진영은 애제자인 비 (Rain)는 중국에서 앨범 50 만장, 일본이나 대만에서도 10 만장이상
팔리는 가수로 성장해있었다.
그 당시 동아시아 각국을 돌면서 활동을 했다면 많은 돈을 벌었을 것이다.


그러나 JYP는 비 (Rain)도 북미 진출을 노리고 2006 년, NY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공연을 펼쳤다.
하지만 비 (Rain)는 그당시 그다지 영어를 말할수 없었고,
방송국에서 출연 요청이 쇄도했는데  "통역이 필요함"을 알고  철회되고 (그 후에 영어를 배워
할리우드 영화에 출연을 하기는 했지만)  성공까지는 가지 못했다. (조선일보 2007 년 7 월 3일 박진영 인터뷰).


박진영은 이때의 경험을 살려 Wonder Girls가 북미 진출에 재도전 할 때는
멤버에게 영어를 교육을 하고,  히트 곡 'Nobody'를 영어 가사로 만들어서 2009 년에 발표했다.
버스 투어로 미국, 캐나다 도시를 돌며 미국의 대형 슈퍼에서 앨범을 99 센트에서 팔아가면서  
'Nobody'를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핫 100'진입 (76 위)시켰다 - 하지만 이것이 한계였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빌보드는 K-POP을 주목하게된다.

2012 년의 PSY  '강남 스타일' 히트한 후 2014 년에는 한국계 미국인 재니스 민을
CEO로 임명하고, K-POP에 관심을 나타내게 되었다
( 조선일보 2018 년 5 월 29 일 " BoA가 힘들게 연 문에서 정점으로 뛰어 오른 BTS(방탄소년단) ").


반복해서 말하지만, 비 (Rain)는 K-POP 가수 최초로 도쿄돔 공연을 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돈만을 벌고 싶었다면 어렵게 미국 진출을 목표로 할 필요가 없었다.

Wonder Girls도 북미가 아니라 일본을 데뷔시켰다면,
카라나 소녀시대, 지금의 TWICE(트와이스) 정도의 인기를 얻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박진영이 미국 진출에 열을 올리고 있던 시절에 JYP 소속 가수의 일본 진출은
동방신기의 성공을 보고  남성 아이돌 2PM을 보냈지만 이외는 비교적 소홀했다.)

(카라나 소녀시대가 일본 진출 붐을 일으킨 것은 2010 년이며,
2011 년 여름에는 후지 TV 앞에서 혐한 시위가 일어나고 K-POP 가수의 미디어 노출이 격감하게 된다.).

게다가 박진영들이 그토록 고생하며 미국 시장을 개척했음에도 불구하고
2016 년 실적은 한국 대중 음악 산업 전체 수출액 중  북미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0.3 %에 불과하다
(조선 일보 2018 년 1 월 1 일 「Wonder Girls · 소녀 시대 ... K-POP의 미국 시장 진출 역사」).


한의국 문화체육 관광부의 발표를 보면 2017년 한국의 음악 수출액은 4 억 4257 만 달러라고한다
(연합 뉴스 2018 년 6 월 1 일 "한국 콘텐츠 산업의 성장 지속 수출액이 첫 60 억 달러 돌파)
만약 2017 년도와 같이 0.3 % 라고 하면,  즉 1.2 억엔 정도 밖에 안된다.

JYP는 미국 진출에 투자한 돈은 130 만 달러라고도 하고, 2 억엔 이상 이라고도 하는데
아무리 라이브 관련 수익이 중심이라해도 적자였을 것이다.  


K-POP 가수의 미국 진출은 정통 R&B와 힙합, 쇼 비즈니스에 대한 열망이 낳은 '도전'이지
중단기 투자와는 맞지 않는다.
(2012 년 PSY의  강남 스타일이 세계적인 유행이 되었던 것은 우발적인 사건이지  
'전략 '과 '도전 '의 산물이 아니다).


무엇보다 박진영을 비롯한 JYP 아티스트에 곡을 다수 제공하고 JYP 프로듀서 수업을 쌓은
방시혁 대표가 Big Hit 엔터테인먼트 소속 BTS(방탄소년단을)이  미국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어쩌면  K-POP 전체로 보면  "처음의 뜻은 이뤘다"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사카이 미에코 'K-POP 백스테이지 에피소드 "河出書房新社 2012 년에 따르면
비 (Rain)가 미국 진출에 진력 한데에는 PENTAGON 및 (G) I-DLE를 보유한  CUBE 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 홍승성이라고도 하지만).



k-pop의 세계진출은 '합리성'만으로는 설명이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지만, SM과 JYP의 움직임이나 중국의 음원 시장 규모, 미국 시장에서의 실적을 보면
'한국 밖의 시장이 크기 때문 쟁취하러 간다 " 라고 하는 간단한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있다.


K-POP의 리더들에게 중국과 미국, 일본의 음악 시장을 공략한다는 것

지금 과거의 중국이나 일본의 아티스트가 잡을 수 없는 수준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는 k-pop에는   '돈벌이' 이상의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것을 추구하며 정열를 불태워왔기 때문에 지금의 k-pop이  있다.



이수만은 포크 가수에서 사회자를 거쳐 경영자가 되었다.
박진영은 현역의 R & B, 펑크 싱어 송 라이터이다.
YG 대표 양현석은 한국에서 문화 대통령으로 불릴만큼 영향력을 가진 그룹인 서태지·와 아이들의 댄서였다.


그들 모두 자신도 연기자였던 것이다.
즉, 인기는 금전으로 바꿀수 없다는 쾌락을 몸으로 알고있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그들은 바다를 건너  온 포크와 소울, 힙합과 더불어
과거 일본의 대중 음악에서 영감을 받아 온 사람이기도 하다.

이를 무시하고 K-POP의 세계 진출 동기를  품안의 사정에서만 찾는 것은 부자연스럽다.


원래 경제적, 합리적으로만 생각한다면,
엔터테인먼트 산업, 콘텐츠 산업을 사업의 메인으로 선택하는 것 자체가 좋은 것이 아니다.

음악 산업은 아티스트의 인기 부침에 따라 사업의 변화가 심하고 ,
또한 제조업과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작은 시장 밖에 없고 ,특별히 이익률이 좋은 산업도 아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GDP는 550 조엔이지만, 콘텐츠 산업의 시장 규모는 모두 합쳐도 12,3 조엔 밖에 안된다.
반면 제조업은 재무부의 법인 기업 통계'를 보면 매출이 약 400 조엔이다.

한국만 봐도 Wall Street Journal 사이트에서 2017 년도 매출을 보면
삼성 전자는 239 조 5753 억 7600 만원 (약 24 조원), 현대 자동차는 96 조 3760 억 7900 만원 (약 9.6 조원),
LG 전자는 61 조 3962 억 8400 만원 (약 6.1 조원)이다.

이에 비해 대해 SM 엔터테인먼트는 3653 억 8700 만원 (약 365 억엔),
YG 엔터테인먼트는 3498 억 6100 만원 (약 350 억엔),
FNC 엔터테인먼트는 1166 억 8700 만원 (약 117 억엔),
JYP 엔터테인먼트는 1022 억 4200 만원 (약 102 억엔),
비상장의 Big Hit 엔터테인먼트가 924 억원 (약 92 억엔)이다.
자릿수가 다르다.


거듭말하지만  경제적 합리성만"이 아니라는 말이지
해외 진출에  경제 합리성이 없다라는 말이 아니다.


-----
엠팍의 나우앤히어 님이 일본의 평론가 이다 이치시의 트위터를 번역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5/16 23:37
수정 아이콘
보면서 드는 생각
1.원더 걸스는 박진영 멱살 잡는 데에 그치지말고 무릎이라도 꿇게 만들어야한다.
2.비는 그거에 더해서 욕도 한 바가지 부어도 된다.
안정적으로 스타가 될 수 있었는데 도전 정신이 저들의 힘을 깎아 먹은 것 같아서 아쉽네요
55만루홈런
20/05/17 01:47
수정 아이콘
비와 원더걸스는 걍 한국서 편하게 활동하는게 더 나았죠. 다만 둘의 전성기땐 유툽이 지금처럼 강력한 때가 아니라 그 이상으로 인기 얻긴 힘들었을 겁니다. 진짜 유툽이 전세계 대중화 되면서 한국 케이팝을 다 뜨게 만든거라...
VictoryFood
20/05/16 23:51
수정 아이콘
거인의 어깨에 올라섰다는 뉴턴의 말처럼 (원래 뉴턴 이전에도 있던 관용구라죠?) 후대의 성공에는 언제나 선대의 희생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선구자들은 언제나 존경받아야 합니다.
건강한삶
20/05/16 23:59
수정 아이콘
전 그래서 도전하고 실패한사람들은 무시(조롱)을 해본적도 없지만 할생각조차 안듭니다. 그런데 결과로만 판단하는것인지 아니면 판단(조롱)을 위해 결과를 갖다붙이는지는 모르겠지만 사람들은 누군가의 성과만을 보고 평가를 많이 하더라고요...
오히려 다소 아쉬움은 있었을지 몰라도(잘나가던 가수들을 무모하게 도전시켜 성장을 멈추게 한듯한모습), 그 과정이나 결과가 결코 폄하되기만 할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런게 제가 저당시 저 가수들의 팬이 아니여서 그럴수도 있고, 누군가를 폄하하는걸 가십으로 삼지 않아서 그럴수도 있지만요.
VictoryFood
20/05/17 00:33
수정 아이콘
아마 팬들의 (저포함) 시선은 이럴 거에요.
도전은 JYP와 원걸이 같이 했죠.
그런데 도전할 때 감수해야 하는 리스크는 JYP와 원걸이 서로 달랐어요.
물론 JYP 입장에서도 사운을 걸고 한 도전이지만, 원걸 입장에서는 말그대로 미국가서 가장 황금기를 놓친거죠.
실패를 통해서 무언가 얻는 게 있을 수 있는데 JYP는 그 실패의 교훈을 얻었지만 원걸은 아니었습니다.
기회비용을 생각하면 투자도 원걸이 더 많이 했고 실패에 대한 손해도 원걸이 더 많이 감수했는데, 그 결정은 원걸이 주도적으로 하지 못했습니다.
그게 박진영이 평생 원더걸스 멤버들에게 미안해야 할 이유라고 생각해요.
건강한삶
20/05/17 01:06
수정 아이콘
뭐 우두머리가 그렇게 이끌었다는(당연 우두머리닌 안따르기 어려움) 점은 확실히 목적이나 과정과는 별개로 가혹한 선택(결정)인건 맞겠네요.
게다가 애초에 잘됐으면 모든게 만사 오케이였지만 저땐 진짜 말그대로 맨땅에 헤딩수준이였으니...
그래도 원걸멤버들도 톱의 위치는 사수하지 못했지만 그룹으로서 이룬성과와 그 과정들덕분해 더 성장하고 지금은 추억이됐더라고 멋진그룹이였다고 생각할수 있게된게 다행?이죠. 그리고 전 제왑의 선택이였다지만 원걸의 선택도 어느정도 높게 처주고 싶고, 그룹은 몰라도 개인한테는 다른 값진 경험도 있었다고 생각하기를 믿고싶네요.
소울니
20/05/17 09:18
수정 아이콘
윗 댓처럼 제3자입장에선 훌륭한 도전이라고 치켜세우고, JYP 스스로 자위한다고해도 팬들 입장에서 두고두고 억장이 무너지는 일이죠.
당시 원걸팬이었던 제 친구는 아직도 떡고하면 치를 떱니다. 그룹의 최전성기를 팬들과 가수 모두 잃어버린거죠.
미국진출도 멤버들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됐다고 보이지도 않고, 당시 박진영의 조나스 브라더스와 투어, 빌보드핫100진입등 수많은
언플로 미국에서 성공하는것처럼 보였으나 실상은 CD를 1달러에 떨이하듯이 팔고,멤버들은 버스투어에 힘들어했죠.
용기있고 훌륭한 도전이라고 하기엔 그 후유증이 너무 컸어요. 팬덤은 와해되고,그룹으로써도 치명타였죠. 물론 선예같은 멤버문제도 있었고,마지막 해체과정은 나름 신경써준거 같아 다행이지만 박진영은 늘 멤버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봅니다.팬들은 무슨 죕니까ㅠ
건강한삶
20/05/16 23:54
수정 아이콘
호오, 좀더 제대로된 일본의 평론을 보게되다니 새롭네요.
단순히 저 지도자들(기획사대표)들의 겉치레만 보질 않고 속을 들여다보려고 노력했다는 점이 역시 쟤들도 모르진 않았는데 모른척 했을뿐이라는 생각도 들게하네요.
사실 국뽕을 떠나 서구권에서도 먼저 케이팝을 열풍을 내다봤고 분석을 해왔었죠, 한국의 가무는 역사적으로도 뿌리깊은 전통?특징?중 하나라고도 생각하고 실제로 응원가가나 노동요 등 생활속 음악이 뿌리가 깊게 자리잡고 있던것 등을 생각해보면 저 또한 어쩌면 필연적인것이라는 생각도합니다.
센터내꼬야
20/05/17 00:25
수정 아이콘
한국이 가진 것. 종의 다양성. 끗
20/05/17 12:22
수정 아이콘
근데 한 10년 이상 전에는 제이팝이 뛰어난 이유가 종의 다양성이라고 했거든요. 뭔가 일본음악이 정체되는 느낌은 확실히 있어요. 그게 쟈니스와 48그룹만이 문제라고 하기엔 또 애매한 면이 있고요.
센터내꼬야
20/05/17 15:09
수정 아이콘
지나고 나서 생각해보면 밴드음악에 대한 집착이 아니었을까도 싶은데..
음악이라기 보다 문화에 있어서 생각보다(당연히 완전하진 않죠) 종의 다양성이 굳건한 편인 나라라서 강한거 아닐까 하네요.
문화소비에 관련된 것들을 한국이 확실히 잘 만듭니다.
한국 드라마 수준은 이미 세계에서 손가락안에 들만하고 (미드, 영드에 견줄만한 위치라 봅니다. 전부는 아니지만요)
즐기는 음악으로의 수준도 높은 편이라 보고요.

쓰고나니.. 종의 다양성보다는..
인력 갈아넣기였나 하는 생각도 드네요..
탐이푸르다
20/05/17 00: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런 선구자들의 열망을 스마트폰의 보급, SNS 문화가 날개를 달아준 것 같습니다.
소속사의 느슨한 저작권 인식과 온라인 기반의 컨텐츠가 요즘 공유경제, 오픈소스라는 트렌드에 너무 잘 맞아들었어요.

일본 AV 업계(...)도 이런 비슷한 전략으로 한국에서 수익을 얻으려고 하긴 해요.
건강한삶
20/05/17 01:09
수정 아이콘
그 시마켄?같은(유툽) 경우가 예인가요?
탐이푸르다
20/05/17 02: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저는 시미켄 유튜브과 같은 사례는 충분히 케이팝과 유사하다고 생각해요. 느슨한 저작권과 그로 인한 공유의 이점으로 수요층을 키우고 거기서 긍정적인 수익구조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요.

그래서 저는 케이팝의 성공을 설명할 때 그들의 열정이나 완성도뿐만 아니라, 그것이 어떻게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갈 수 있었는지에도 방점을 찍어야 한다고 봐요. 모든 기획사가 꿈을 꾸었지만 SNS 시대를 만난 방탄소년단이 가장 성공했으니까요.
20/05/17 00:38
수정 아이콘
여러가지 복합적 이유일 수 밖에 없습니다.
서태지 시절부터 한국 가요계가 추구해온 젊은 음악과 다양성이 민주화와 경제성장을 만나 만개했고,
보아, 동방신기, 카라처럼 해외 진출해서 성공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생기면서 해외진출 전략도 치열하게 발전시켜왔고,
연습생 시스템, 음악방송 같은 한국 고유의 아이돌 육성 생태계가 해외에는 없는 경쟁력을 만들어냈지요.
그걸 한국인의 경쟁심... 정도로 정리하기엔 내수시장 부족이 편협한 관점인 것 처럼 그 역시 너무 편협한 관점인 것이지요.
20/05/17 01: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젊은 문화 추구하는게 컸다고 생각하는데 이제 한국 문화도 늙어가는거 같고 사람들도 늙어가는중이라 계속 가능할지 모르겟습니다
트로트 대회가 성공했으니 이젠 노인들 타겟이 더 늘어 날수밖에 없을거 같은데 그게 저한텐 좋은거라 생각하지만 세계화엔 좀 힘들겟죠
건강한삶
20/05/17 01:20
수정 아이콘
더쿠에서는 다른관점(왜 통하는가)이 부족하다는 의견과 방탄의 성공을 좀더 중점으로 생각하는 의견들도 있네요
뭐 현재 서구권에서 가장통하는게 방탄이니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방탄을 빅히트소속사나 3대와 떨어트려놓고 방탄이라 가능한 이유에 대한?의견들 펼치네요.
하심군
20/05/17 01:20
수정 아이콘
열망만으로는 할 수가 없는 것도 있죠. 실제로 일본에서도 꾸준하게 미국으로 진출하려는 시도는 여러번 있었다고 봅니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일본에서 성장한 그들만의 스탠다드를 고집했다는 거죠. 미국에서 성공하고 싶다가 아니라 우리 음악을 미국 시장에 우겨넣어서 메타를 바꾸고 싶다. 라는 개념이 크지 않았나 라는 생각은 듭니다. 어찌보면 이게 진정한 진출이라고 볼 수도 있는데 사실 불가능한 일이죠. 와패니즈가 한 때 유행한 적이 있지만 어디까지나 서브컬쳐였지 그것이 기반에 있는 정서를 바꿀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그에 비해서 한국은 특이한 게 오래 전 부터 남의 것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우리 것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선시대까지 갈 것도 없이 힙합의 발전상을 돌아봐도 대략 개념이 나오는 거죠. 결국 상대방의 문화에서 발전 시킨 결과물이 나오니 메인 컬쳐에 익숙한 전 세계의 대중들이 받아들이기 쉽고 그 안에서 개성도 뚜렷하니 매력을 느끼는 게 아닌가.

말주변이 부족해서 이 정도로 설명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55만루홈런
20/05/17 01:49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한국 케이팝, 한류가 왜 떴냐 하면 무조건 나오는 두개가 한국 내부 시장이 작아서, 그리고 국가지원으로... 두개가 무조건 나오죠 크크

암튼 지금이 한국 문화의 피크가 아닐지... 거의 인구의 힘인데 이제 인구가 줄어들고 좋은 인재들이 줄여들면 자연스레 한류도 뭐...
20/05/17 01:50
수정 아이콘
'내수가 작아서 밖으로 진출했다' 이말의 어감은 내수만으로는 먹고살수 없어서 외부로 진출했다는 느낌이 들죠

'내수만으로 먹기보다 더 많이 먹고싶어서 진출했다' 이게 현실이라고 봐야겠죠

링크해주신 평론(?)을 봤는데, 저거 역시 일본중심의 시각에서 씌여진 칼럼이에요
간만에 제대로된 말을 하는군.. 하실 필요없어보여요 사실
탐나는도다
20/05/17 08:26
수정 아이콘
일본이 꿈꾼것 한국이 이루고
일본이 분석하지만 실패한다 크크
백날 일본 시각으로 분석해봤자 일본 감성으로 알수가 없죠
거친풀
20/05/17 09: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정투쟁"이라고 할까요. 한국 현대사는 먹고사는 것 만큼이나 인정 받고 싶다는 욕망의 역사죠.
일본과 한국이 어느 순간부터 가는 길이 조금씩 틀려지고 있고 아마도 코비드19가 끝나고 나면 완전 다른 노선을 취할 듯 싶은데, 그 대표적인 산업이 문화산업이 아닐까 싶네요. 특히"아이돌"이란 개념이 일본에서 들어 왔지만 공장형 아이돌을 넘어 아티스트로 키워내고 있는 걸 보면 "인정욕구"란게 대단하죠.
그런데 BTS가 "자신을 사랑하라"는 타이틀로 Kpop의 정점에 올라 세계를 지배하는 걸 보면 이건 정말 아이러니죠. 그렇게 인정받고 싶었던 이들의 시간을 넘어 자신을 사랑하자는 아티스트가 나타나 세상을 호령하고 있으니...
이젠 일본의 평가 따위는 그만 지나치고 세상을 향해 자신에게 충실하고 세상에 충실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네요.
20/05/17 10:14
수정 아이콘
물론 이것만으로 k팝의 성공을 다 설명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누군가에 인정 받고자 하는 그 열망이 강한 동력이 되었다는 건 잘 나온 거 같습니다.
유념유상
20/05/17 10:43
수정 아이콘
그냥 주류에 편입하고 싶다 이거죠.
치열하게
20/05/17 11:03
수정 아이콘
중국 역사상 최대의 영토 징기스칸???
닉네임을바꾸다
20/05/17 13: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칭기스칸 사후에도 팽창 중이였으니까...칭기스칸을 중국역사로 넣어도 성립은 안될려나요 크크
아직 금도 간간히 유지중이였고 남송은 뭐...
문문문무
20/05/17 11:07
수정 아이콘
열망과 열정이 컸다는 거군요 그게 재능의 발산이나 수비적인 운용을 거부하고 뚝심있게 외부로 밀어붙이는 원동력이 되었었던거고
맥핑키
20/05/17 13:56
수정 아이콘
저도 박진영의 원더걸스 미국 진출건은 까야 된다고 생각하긴 합니다만
애시당초 원더걸스가 뜬 것 자체가 사고였어요. 그런데 그 사고를 빠르게 분석해서 3연타로 만든건 9할 이상이 프로듀서의 힘이라고 보거든요.
원더걸스 데뷔곡 때 뭐라고 하면서 나왔냐 하면 '한국의 푸시캣 돌스' 라면서 나왔습니다. 3연타 후에 미국행은 초반 행보를 보면 운명으로 점지된 거였는지도 몰라요.
자의든 타의든 이렇게 되고 보면 리스크가 있고 없고를 떠나서 2007-2008년을 지배하다시피 했는데, 미국 도전 한 번 하러 가볼법 하죠.
그리고 미국 진출이 순전히 박진영이 멱살 잡고 끌고 간 것처럼 말하는데, 멤버들 누구 하나가 못한다고 엎어졌다면 안갔겠죠. 그렇게 멱살 잡고 지 꿈을 위해 끌고 다닐 위인이었다면 뮤비까지 다 찍은 현아를 놔줄리 없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JYP 엔터 특유의 쿨내나는 선택들이 존재하지 않을 겁니다.

저도 떡고 싫어하는데 미국 진출을 온전히 박진영 단독범으로 보기엔 정황상 안맞죠. 물론 뭔가 옆에서 들쑤셔놨는지 미안한게 있으니 예능에 나와선 본인이 다 뒤집어쓰긴 하는데, 만약 정말 박진영 단독범이었다면 원걸 멤버들과 박진영 사이는 이승철과 김태원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현재 그런가요?
한종화
20/05/17 16:14
수정 아이콘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 문화는 세련된 곳에서 촌스러운 곳으로 흐릅니다. 그리고 그 세련미는 문화적 토양과 경제적 부흥, 그리고 자유롭고 민주화된 사회 분위기로부터 나옵니다. 오랫동안 일본 대중문화가 아시아 정상이었고, 80,90년대 홍콩이 잠깐 아시아 대중문화를 선도한 적이 있었는데 이제 한국이 물을 만난 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9620 [연예] 깡 뮤비 촬영지 [14] 라울리스타10593 20/05/17 10593 0
49619 [스포츠] [해축] 잉글랜드 이적과 펩에 대한 썰들을 푼 토니 크로스 [6] 손금불산입4553 20/05/17 4553 0
49618 [연예] 팬텀싱어3 영업글 [35] 오쇼 라즈니쉬5989 20/05/17 5989 0
49617 [연예] 깡보다 알게 된 노래 [16] 고라파덕6293 20/05/17 6293 0
49616 [연예] [놀면 뭐하니] 어제자 깡으로 가는길 댄스 모음집 [31] 신류진6645 20/05/17 6645 0
49615 [스포츠] NBA 위 vs 아래 [7] 김치찌개2711 20/05/17 2711 0
49614 [스포츠] 2000년 이후 TOP NBA MVPs 랭킹.jpg [1] 김치찌개2103 20/05/17 2103 0
49613 [연예]  코커 김민아의 기상캐스터 마지막날 [4] 강가딘6495 20/05/17 6495 0
49612 [스포츠] 여자 배구 인기의 비결은.jpg [29] 송하영6560 20/05/17 6560 0
49611 [스포츠] [해축] 엘링 홀란드 분데스리가 재개골.gfy [14] 손금불산입5068 20/05/17 5068 0
49610 [스포츠] NBA 우승은 못했지만 매력적인 라인업.jpg [27] 김치찌개4273 20/05/17 4273 0
49609 [연예] [트와이스] "MORE & MORE" CONCEPT FILM SANA [12] TWICE쯔위3792 20/05/17 3792 0
49608 [스포츠] 오늘자 KBO에서 나온 멋진 호수비 모음.gif (데이터 有) [27] 나의 연인6373 20/05/16 6373 0
49607 [스포츠] [해축] 2000년 이후 태어난 유망주 랭킹.jpg [3] 손금불산입3790 20/05/16 3790 0
49606 [연예] 일본 평론가의 시선으로 본 한류 k-pop가 세계로 뻗어가는 이유 [29] 내설수10413 20/05/16 10413 0
49605 [연예] 비가 깡 반응으로 깨달음을 얻고 발표한 음악 [18] 삭제됨9249 20/05/16 9249 0
49604 [연예] 오늘 놀면 뭐하니에 나왔던 비 시무20조 [5] 강가딘7186 20/05/16 7186 0
49603 [연예] 꼬만춤 금지 [11] HYNN'S Ryan9312 20/05/16 9312 0
49602 [연예] [AKB48] 개인유튜브에 한국어 강좌 올린 미야자키 미호 [3] VictoryFood3714 20/05/16 3714 0
49601 [스포츠] [KBO/LG] 찾았다 5선발♬(데이터 주의) [45] 무적LG오지환3256 20/05/16 3256 0
49600 [스포츠] [NBA] 토니 쿠코치 하이라이트 [8] 그10번3754 20/05/16 3754 0
49599 [스포츠] SK 8연패.. 이시국 재평가 되는 사람 [25] 길갈7062 20/05/16 7062 0
49598 [연예] [놀면뭐하니/비] 하드캐리 (호우주의) [34] Ace of Base7159 20/05/16 71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