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03 07:30:19
Name 퀀텀리프
File #1 20250403_072813.jpg (163.3 KB), Download : 976
Subject [일반] 역사속의 관세와 전쟁의 상관관계 (수정됨)


TV에서 관세가 전쟁을 촉발하는 트리거가 된다는 경제학자의 말을 듣고 ChatGPT에게 물어보았습니다.
-------------------------
관세가 전쟁의 원인이 된 사례는 역사적으로 여러 번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영국의 차에 대한 관세로 촉발된 미국 독립전쟁(1775-1783)과, 링컨의 보호무역 정책이 남북전쟁(1861-1865)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있습니다.

1️⃣ 영국의 차(Tea) 관세와 미국 독립전쟁
18세기 영국은 식민지였던 북미에서 세금을 걷기 위해 여러 법안을 시행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차법(Tea Act, 1773)**입니다.

- 배경:
1765년 인지세법(Stamp Act): 신문, 법률 문서 등 인쇄물에 세금을 부과 → 식민지 반발
1767년 타운센드법(Townshend Acts): 유리, 종이, 차 등에 관세 부과 → 저항 증가
1773년 차법(Tea Act): 영국 동인도회사가 북미에서 차를 독점적으로 싸게 판매하도록 허용

오히려 차 가격은 낮아졌지만, 영국이 식민지에 대한 과세 권한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반발
이에 보스턴 차 사건(Boston Tea Party, 1773) 발생
영국은 강경 대응(강제법, Coercive Acts) → 식민지인들이 분노하면서 독립전쟁 촉발
결과: 1775년 렉싱턴-콩코드 전투(Lexington and Concord)를 시작으로 미국 독립전쟁 발발

2️⃣ 링컨의 관세 정책과 남북전쟁
흔히 남북전쟁은 노예제 문제 때문에 발생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경제적 원인, 특히 관세 정책도 중요한 요인이었습니다.

- 배경:
미국 북부: 산업 중심지, 유럽과 경쟁을 피하기 위해 보호무역(높은 관세) 선호
미국 남부: 농업 중심지, 면화를 영국으로 수출하고 영국제 제품을 수입 → 자유무역(낮은 관세) 선호

- 링컨 이전의 관세 정책
1828년 "혐오 관세(Tariff of Abominations)": 남부 반발
1832년 관세 갈등: 사우스캐롤라이나가 연방 법률 거부(Nullification Crisis) → 일시적 해결

- 링컨과 1861년 모리유 관세(Morrill Tariff)

1861년, 링컨 대통령 취임 직전 공화당 주도의 보호무역 관세법 통과
남부는 이 관세가 남부 경제를 위협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고 판단
이로 인해 남부의 분리 독립을 더욱 강하게 추진
결과:남부는 연방에서 탈퇴 → 1861년 4월 남북전쟁 발발

-  결론: 관세가 전쟁을 촉발할 수 있는가?
✅ 미국 독립전쟁: 차 관세(Tea Act)로 촉발
✅ 남북전쟁: 보호무역(고율 관세)이 갈등을 악화

- 핵심 교훈:
관세는 단순한 경제 정책이 아니라,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이해관계를 대립시키는 정치적 무기가 될 수 있음
무역정책이 정치적 갈등을 증폭시켜 전쟁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역사적으로 반복됨
오늘날에도 미·중 무역전쟁 같은 사례에서 비슷한 양상을 볼 수 있음!


1️⃣ 1차 세계대전과 미국의 관세 정책
- 배경: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보호무역주의 확산
19세기 말, 산업혁명으로 각국의 경제력이 급격히 성장
유럽 주요 국가와 미국은 **보호무역(높은 관세 정책)**을 시행
독일, 프랑스, 미국 등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고율 관세 부과 → 무역 갈등 증가

- 미국의 관세 정책과 전쟁의 연관성
1890년 맥킨리 관세(McKinley Tariff)
미국이 높은 관세율(평균 49%) 부과 → 유럽 경제에 타격
특히 독일과 프랑스가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 부과
1897년 딩글리 관세(Dingley Tariff)
평균 관세율 57%까지 상승 → 무역 긴장 고조
1913년 언더우드 관세(Underwood Tariff)
관세를 낮추려 했지만, 이미 강대국 간의 경제적 긴장이 심화됨

- 결과:
보호무역주의로 각국이 경제적으로 고립
식민지 쟁탈전 심화 → 독일, 영국, 프랑스 간 긴장 증가
결국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1차 세계대전 발발

-  요약: 미국의 보호무역이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었지만, 세계 경제 질서를 악화시키고 제국주의 경쟁을 촉진하여 전쟁 배경이 됨

2️⃣ 2차 세계대전과 미국의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 1930)
-  대공황과 보호무역 강화
1929년 대공황(Great Depression) 발생 → 전 세계 경제 붕괴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스무트-홀리 관세법(1930) 제정
관세율 60%까지 인상 → 역대 최고 수준
농산물, 공산품에 대한 극단적인 보호무역 조치

-  글로벌 경제 붕괴 & 국제 긴장 고조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에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이 보복 관세 부과
세계 무역량 66% 감소(1929~1934년) → 경제 불황 심화
독일, 일본 등은 수출 감소로 경제적 압박 증가 → 군국주의, 침략 강화
-  결과:
독일: 히틀러가 경제 회복을 위해 군비 확장, 전쟁 준비
일본: 자원 확보를 위해 만주 침공(1931), 중일전쟁(1937)
결국 1939년 2차 세계대전 발발

-  요약:
스무트-홀리 관세법이 글로벌 경제를 붕괴시키면서 각국의 침략적 행보를 부추겼고, 2차 세계대전의 원인 중 하나가 됨

-  결론: 미국의 관세 정책이 세계대전을 촉발했나?
✅ 1차 세계대전: 보호무역주의가 강대국 간 식민지 경쟁을 악화시켜 전쟁을 촉진
✅ 2차 세계대전: 스무트-홀리 관세법으로 세계 경제 붕괴 → 독일·일본의 군국주의 강화

-  핵심 교훈:
보호무역과 고율 관세가 국제 경제를 악화시키고 국가 간 충돌을 부추김
세계 경제 위기가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음
현재 미·중 무역전쟁도 비슷한 패턴을 보이며 글로벌 경제에 긴장 유발

-  "경제 전쟁은 결국 실제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
관세가 경제 공황을 유발하여 전쟁의 트리거가 될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20세기를 떠오르게 하는 상황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03 07:46
수정 아이콘
방산주 사면 되나요
패트와매트
25/04/03 07:49
수정 아이콘
남북전쟁 관세는 썩은 떡밥이니 거르면 됩니다
자가타이칸
25/04/03 10:56
수정 아이콘
아직도 남북전쟁의 원인이 노예제가 아니라 북부가 경제적인 원인으로 남부를 지배하려고 한것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믿는 사람들 엄청 많죠.
"남부연합의 딸들"이라는 단체가 일을 너무 잘했나???
신성로마제국
25/04/03 18:16
수정 아이콘
자기들이 노예제 옹호했다고 말하기 쪽팔리니 찾다 찾다 나온 명분.
요즘 메타 보면 그냥 우리 인종차별했고 노예제했다고 당당한 게 차라리 나을 수도.
25/04/03 07:50
수정 아이콘
전쟁은... 솔직히 확정이라고 봅니다.
어느 지역까지, 어느 정도로 터지는가의 문제일 뿐.
25/04/03 08:08
수정 아이콘
여러모로 2차대전 전과 비슷합니다. 부디 전쟁의 포화가 우리나라에 튀지 않길 바랄뿐입니다.
미뉴잇
25/04/03 09:48
수정 아이콘
트럼프는 살만큼 산 나이고 어떤 미친짓도 가능한 사람 같은데 이걸 빌미로 전쟁일으켜도 놀랍지 않겠네요.
먼산바라기
25/04/03 09:5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과세가 전쟁을 유발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사실은 자유무역으로 인해 각국의 경제와 산업이 긴밀하게 엮인 것이 전쟁을 억지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예를들면 우리와 일본이 전쟁을 고려할지라도 일본과의 무역이 단절됨에 따라 발생하는 손해로 인해, 사회 각 층에서 전쟁을 바라지 않는 의견이 다수일거라는거죠.

그런데 관세가 높아지고 무역장벽이 생기면 각국이 서로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줄어들면서 계층마다 각각 다른 목소리가 나올수 있다고 봅니다.

별개로, 현재 세계 정세가 지극히 불안정해지고 있고 전쟁의 가능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100% 동의합니다.

사견이지만 그 동안 세계 인구가 너무 많이 늘었다고 봅니다. 이렇게 인구가 늘어나고 계급간의 갈등 국가간의 갈등이 격화되면 역사속에서의 결론은 언제나 두가지 중에 하나로 귀결됐다고 봅니다. 전쟁 혹은 역병이요.

코로나가 지나갔으니 이제 전쟁의 차례는 아닐까 두려운 마음 뿐입니다.
소독용 에탄올
25/04/03 11:24
수정 아이콘
전쟁 없이도 출산감소로 인구가 줄어들 예정이긴 합니다만, 속도가 불만인 분들이 나올수 있긴 하네요...
한사영우
25/04/03 11:05
수정 아이콘
어라 전세계로 확인을 했는데 .. 다 미국이랑 관련되있네??
이번 관세도 미국이 한거네 !!! 그렇다면!!
김유라
25/04/03 11:08
수정 아이콘
경제가 터지면 어디선가 고뿔을 빼려는 시도가 나오기는 하죠.
사실 그동안의 그 시도가 전부 중동, 아프리카 위주로 나와서 체감이 되지 않았을 뿐...

그런데 지금은 가장 위협적인 곳이 남중국해라서 무섭긴 합디다.
자가타이칸
25/04/03 11:26
수정 아이콘
솔직히 트럼프 재직 중 또는 임기 끝나자마자 남중국해에서 전쟁날 확률은 매우 크다고 생각됩니다.

너무 안 좋은 자국 경제상황을 전쟁으로 극복하려는 사례는 무수히 많죠.
메가트롤
25/04/03 11:52
수정 아이콘
어릴 적에 봤던 전후 호황이 감명 깊었던 듯
산밑의왕
25/04/03 13:20
수정 아이콘
우리시대의 벨에포크가 끝나가고 있다는 느낌입니다...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3103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98154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373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6128 3
104012 [일반] 무역적자와 기축통화국에 관하여 (ChatGPT와의 대화) [5] 번개맞은씨앗533 25/04/04 533 1
104010 [일반] 한국은 원래 섬이었다? [3] 식별2072 25/04/03 2072 4
104009 [일반] 트럼프는 왜 저러고 미국 주식은 어디까지 떨어질까? [67] SOXL9147 25/04/03 9147 44
104008 [일반] 부산에 전국단위 금융자사고 설립, 관내 지자체 3파전 [18] 흰둥3555 25/04/03 3555 0
104007 [일반] 교토, 오사카 Solo 여행 후기 [11] 럭키비키잖앙3059 25/04/03 3059 10
104006 [일반] 네이버 멤버십 롯데시네마 혜택 변경 4.9~ [13] SAS Tony Parker 3799 25/04/03 3799 0
104005 [일반] 역사속의 관세와 전쟁의 상관관계 [14] 퀀텀리프4420 25/04/03 4420 2
104004 [일반] 미국이 주요국에 대한 관세(Tariff)를 발표했습니다. [113] 에이치블루9050 25/04/03 9050 2
104003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6 [16] Poe6510 25/04/01 6510 32
104002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89. 개 술(戌)에서 파생된 한자들 [3] 계층방정3135 25/04/01 3135 4
104001 [일반] 쿠플-HBO 미드 한 편 추천합니다. [27] This-Plus9347 25/04/01 9347 4
103974 [일반] [후원]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95] 及時雨10538 25/03/26 10538 22
103999 [일반] 100개 이상의 9800X3D 사망 보고. 다수는 애즈락 보드에서 발생 [38] SAS Tony Parker 11173 25/03/31 11173 3
103998 [일반] 깁다, 기우다 [14] sling shot4456 25/03/31 4456 7
103997 [일반]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 1,2기 감상문 [35] 꽃차9501 25/03/30 9501 8
103996 [일반] 산불이 잡혀가는 중에 쓰는 시스템적 이야기 [19] VictoryFood9572 25/03/30 9572 7
103995 [일반] [역사] 클래식 음악사 5분 총정리 [8] Fig.15358 25/03/30 5358 13
103994 [일반] 식인과 마녀사냥에 대한 동화 [8] 식별5565 25/03/30 5565 24
103993 [일반]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비기닝> - '지쿠악스 디자인이 뭐 어쨌다고?' [19] BTS6671 25/03/29 667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