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07/24 18:53:54
Name 성수
Subject [스타2] 프로리그 병행 시즌을 이렇게 했었다면 어땠을까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시즌2가 프로리그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인 병행리그가 될 것 같은데요

병행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들이 많이 있었는데 지금 와서 이렇게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상상을 해 봅니다.


우선, 스타1과 스타2의 성적을 같이 랭킹에 합치지 말고 분리하는 겁니다. 랭킹이 2개니 리그 2개를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하면 스타1과 스타2 리그의 경계선이 명확해져서 팬들은 어느 게임을 누가 더 잘하는지 랭킹으로 볼 수 있습니다.


스타2의 관심을 올리기 위해서 스타1과 스타2의 경기를 같은 날에 하되, 경기 편성은 스타1과 스타2를 번갈아서 합니다.

1세트는 스타1 2세트는 스타2 3세트는 스타1으로 하는 식입니다.

왜냐하면 전반전을 스타1으로 하고 후반전,에결을 스타2로 하는 식으로 했었는데

이런 식으로 하면 스타1 좋아하는 분들은 전반전만 보고 채널을 돌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스타1 스타2 번갈아서 하면 스타1 좋아하시는 분들도 스타1 경기를 기다리느라 스타2 경기를 보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선수가 스타1 종목에 집중하느라 나중에 스타2 종목을 따라잡지 못할 것이 우려되어서 한번을 스타1에 출전하면 다음엔 꼭 스타2로 해야된다는 룰이 있었는데, 이렇게 하지 말고 그냥 한 선수가 스타1 스타2 연달아서 해버리는 겁니다.

예를 들면 SKT vs 삼성이라는 경기가 있습니다.

            SKT         삼성
1-1세트 도재욱 vs 송병구 스타1 - 스타1이 끝나면
1-2세트 도재욱 vs 송병구 스타2 - 세팅박의 가호로 바로 스타2 경기로 진입

2-1세트 전용준 vs 엄재경 스타1
2-2세트 전용준 vs 엄재경 스타2

3-1세트 임요환 vs 허영무 스타1 - 스타1 경기가 skt의 승리로 끝남
3-2세트 임요환 vs 허영무 스타2

4-1세트 킴빌리 vs 노틸스 스타1 - 스타1 경기가 끝나면 진행하지 않음
4-2세트 킴빌리 vs 노틸스 스타2

5-1세트 임요환 vs 허영무 스타1 에결 - 두 종목 모두 에결까지 갔을 경우에도
5-2세트 임요환 vs 허영무 스타2 에결 - 한 선수가 연달아서 출전합니다.

(에결만 다른 선수가 출전 가능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면 4세트 이후 출전하는 선수들은 한 종목을 하게 될 수 있지만 3세트까지는 두 종목에 출전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존 방식은 최소 4전 최대 7전인데 이 방식은 최소 6전 최대 10전입니다.
어떤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24 18:58
수정 아이콘
전 솔직히 스1이든 스2든 OEM가 많았지만 재미있게 봤었습니다
그런데 그 때 나왔던 이야기중 경기력 저하가 가장 많이 나왔던걸로 기억하는데 특히 스1에서 말이죠.
애초에 스1은 이지 지나가는 게임 이라고 생가갛고 스2를 집중적으로 연습하던 시기였던게 크기 때문에 연달아 나온다고 하면 더욱 더 연습 못해서 더 저하된 경기력이 나왔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미터기
16/07/24 19:11
수정 아이콘
아예 스1문닫고 스2시작하는게 그게좋지않았을까요
아직두 스2떔에 스1망했다는분들이 있죠
무식론자
16/07/24 19:35
수정 아이콘
무슨 방식을 쓰건 병행은 최악의 선택이었죠. 그냥 깔끔하게 스타1 닫고 스타2로만 진행하는게 나았습니다. 아니면 스타1으로 마무리를 확실하게 지어버리던가요.
16/07/24 19:46
수정 아이콘
스1 연습안했다는 이야기인데 그랬다고 연습 했을까 싶네요.
FloorJansen
16/07/24 20:22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와 마찬가지로 스1으로 완벽하게 마무리를 짓고
준비기간을 거치면서, 정규리그 오픈전에 프리시즌을 열고
그 다음에 바로 넘어갔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시간이 오래되어서 과거보다는 현재와 미래가 중요하죠
릴리스
16/07/24 20:53
수정 아이콘
그냥 병행을 하지 않고 스2로 넘어갔어야 했죠.
스1 경기력이 급락하니깐 병행 리그를 아예 안보게 되더군요.

도대체 왜 병행을 한건지 아이디어낸 인간에게 따지고 싶을 정도였네요.

어짜피 스2판이 거의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어서 초창기의 이런 실수가 더 뼈아프지 않나 싶기도 하지만 지금와서 다시 논의해봤자 영양가는 없어보이네요.
이진아
16/07/24 21:22
수정 아이콘
이제는 병행이라는 게 있었는가 싶을정도로 가물가물 하네요...
16/07/24 21:25
수정 아이콘
병행은 아~무런 이득도 없습니다.
일단 선수들 개개인의 광적인 빠들 말고는 수준높은 경기, 재밌는 경기 보려고 보는거지 OME 보려고 보는게 아니잖아요?
근데 병행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OME 경기가 많이 늘어나거든요.
어느 한 쪽 충실히 연습을 못 하게 되니까요.
곰성병기
16/07/24 21:59
수정 아이콘
그냥 병행자체가 무리수였죠. 병행때문에 양게임 경기력이 저하되서 이도저도 아닌게 되버림...
16/07/24 22:42
수정 아이콘
병행시기때 선수들 인터뷰보면 그 어느때보다 신경이 날카로워져있는것 같더라고요... 굉장히 안쓰러웠던
AeonBlast
16/07/24 22:56
수정 아이콘
병행은 뭐... 그냥 스1팬들 스2보게하려는 발악에 불과했죠. 그래도 개인적으론 그거덕에 스2시작하고 나름 재밌긴 했습니다.
개리지효
16/07/24 23:2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에결을 스1으로 했어야 했다고 봅니다.
병행이라는건 결국은 스2로 넘어간다는 얘기였고 그렇다면 선수들 스스로 스2에 더 많은 노력을 쏟게 될수밖에 없었죠.
거기에 에결로 스2니 스1은 말그대로 기본기로 (나쁘게 말하면 아무 준비없는 망겜들로) 나타났죠.
에결이라도 스1이었다면 성적을 위해서라도 스1의 경기력이 어느 정도는 받혀줬을테고 병행의 목적(스1 팬을 스2로 흡수해보자)이 조금은 더 부드럽게 이뤄지지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AeonBlast
16/07/25 00:46
수정 아이콘
근데 프로리그목적이 스2하게 만드는거여서
에결을 스1하게하면 당시 케스파 취지에 어긋나지 않나 싶습니다.
16/07/25 10:58
수정 아이콘
당시 상황이 무슨 수를 쓰던 어짜피 스2로 넘어가가되어있다 분위기여서 에결이 스1이어도 스2를 준비했을것같거든요
워낙 초창기여서 스2경기력이 OME인데 스1경기력도 같이 OME가 되버린게 문제가 심각했으니까요
16/07/25 01:28
수정 아이콘
근데 생각해보니... 스1 과 스2 는 게임 양상 자체가 아예 달라서 흡수는 무리였다고 보네요.

스1이 전장을 장악해나가고, 수비의 유리함을 살려 굳건한 버티기를 바탕으로 한 양상이었다면,
(특히 전장 곳곳의 언덕개념이 아주 크죠. 이게 있기 때문에 거점 장악개념, 소수 별동대 시간끌기 같은게 가능하거든요.
일단 언덕만 잡아놓으면 소수로 다수에게 불공정한 교환비를 강요하게 되니까요. 스2 언덕은 있으나 마나고.)
스2는 재빠르게 찌르는 공격이 훨씬 유리하죠. 유닛의 속도도 빠른데다 공격력이 워낙 세서 순삭이고,
인공지능이 뛰어난 덕분에 공격측이 어버버거리는 것도 없고, 언덕조차 공격/방어에 직접 영향력이 없다보니 수비측 이점이 딱히 없어서;

해외에서도 얘기 나오는 뭉쳐서 순삭 한 방(데스볼)도 그렇고, 이런 저런 이유로 스1 유저 다수는 스2 재미없어해요. (멀티 얘기)
이건 한국 판매량, 인기로 증명 가능하죠.
외국은 스1유저가 거의 없었고, 한국은 다수가 스1 골수빠였는데 흡수는 처음부터 잘못된 목표였다고 봅니다.

아니 흡수얘기 이전에... 스2 자체가 한국에서 큰 성공가능성은 없는 게임이었다고 봐요. 장르는 핑계죠.
사정이 어떻건 진짜로 재밌으면 알아서 너도나도 하고 열풍 불거든요.
그 옛날 스1이 그랬고, LOL 이 그랬고, 지금의 오버와치도 그렇고. 사전예측은 '장르'때문에 부정적이었지만 결과는 대성공했죠.

제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이라면, C&C 개발진들이 주축이라 그런지 게임양상이 스타보단 C&C 쪽에 가까웠다는 거죠.
상성이 지나치게 작용한다던가(라이트 유저장벽), 전장에 하나만 있는 고유유닛 개념도 그렇고,
유닛들 공격력이 다 세서 순삭이 많다는 점도 그렇고, 거기에 과장된 사운드보단 현실적인 사운드까지 C&C랑 유사하죠.
C&C 가 한국에서 큰 재미 못 본거 생각하면... 그 게임양상 비슷한 스2의 한국성적도 처음부터 어느정도 예측 가능했었다고 봅니당.
마이어소티스
16/07/25 02:26
수정 아이콘
그냥 병행이니 전환이니 하지말고 스1은 스1대로 가고 스2는 스2대로 가서 완전히 별개의 리그로 가는게 깔끔했을거라고 봅니다.
Flash7vision
16/07/25 09:22
수정 아이콘
저도 병행은 최악이었다고 봅니다. 스타1 그냥 문 닫고 100% 스타2로 시작하는 게 나았다고 봐요. 개인적으로는 진에어 스타리그는 말할 것도 없고 2012 프로리그 시즌 1도 명 대회라 생각해서(특히 두 대회 결승전) 그 시점에 스타1 닫는 게 좋지 않았나 싶고요.
임재덕과 이영호의 인터뷰에서 병행을 성토한 게 아직도 기억에 남습니다.
광개토태왕
16/07/25 10:07
수정 아이콘
일단 병행 자체를 하면 안됐었습니다.
언제나그랬듯이
16/07/25 11:00
수정 아이콘
스2 게임양상의 문제는 '수비자 잇점이 전무하다' 로 정리 가능하다고 봅니다. 여기에는 언덕 판정이 사라진 것과 온갖 지형 무시 유닛이 '초반부터' 출격한다는 이유가 있겠지요. 아무튼 수비자 잇점이 없다시피하면서 일반 유저가 즐기기에 너무나도 어려운 게임이 되었어요.
16/07/25 11:39
수정 아이콘
병행 자체가 최악이죠. 그냥 스1에서 스2로 넘어가든가, 스1에 대한 미련이나 아쉬움이 있다면 두 개의 리그로 따로 진행하는게 맞았죠.
Liberation
16/07/25 13:31
수정 아이콘
개드라 나왔을 때 바로 접고 자날로 넘어갔어야 한다고 봅니다.
화이트데이
16/07/25 19:18
수정 아이콘
병행은 무리수였죠. 저도 한 때 스1의 입장에서 병행을 주장했습니다만, 이거는 스타크래프트라는 동명 속에 전혀 다른 스포츠를 진행하고 있는 셈입니다.
배드민턴과 테니스의 인기를 합친답시고 1,3,5경기는 배드민턴, 2,4경기는 테니스 이렇게 할 수는 없듯이요.
16/07/25 20:28
수정 아이콘
병행자체가 문제. 그냥 별개의 리그를 진행했어야
스티븐제라툴™
16/07/25 20:29
수정 아이콘
다필요없고 걍 병행자체가 문제였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655 [기타] [길드워1] 이야말로 선구안을 가진 대작이죠. [23] 언니네이발관9914 16/07/27 9914 8
59654 [기타] [블러드본] [소리주의] 역대급 폭풍간지 보스 [18] 이회영13989 16/07/27 13989 3
59653 [기타] 2016 블리즈컨 가상입장권 + 선물꾸러미 구매 비용 [24] Secundo8556 16/07/26 8556 0
59652 [기타] 대항해시대3 연재(5) - 흰비늘계단, 파르테논신전, 미케네 [14] guldan15490 16/07/26 15490 14
59651 [기타] [포켓몬] [스압] 뭐? 꼬렛이 포켓몬스터 X에 안 나온다고? [91] Sgt. Hammer12045 16/07/26 12045 37
59650 [오버워치] 오버워치 공수 밸런스 개선안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42] habsburg9751 16/07/26 9751 0
59649 [기타] [포켓몬GO] 일본 여행 도중에 열풍을 느끼고 왔네요. [18] 어리버리7578 16/07/26 7578 0
59648 [스타2] 프로리그 병행 시즌을 이렇게 했었다면 어땠을까요? [24] 성수9081 16/07/24 9081 0
59647 [기타] [워크3] PGL 결승 장재호 우승!! [44] kkaddar13695 16/07/24 13695 10
59646 [LOL] SKT 정글러/메인딜러간의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스탯.data [121] Vesta18035 16/07/24 18035 9
59645 [LOL] 현시점 LCK 롤드컵 경우의 수 정리 [16] Shotable11339 16/07/23 11339 3
59644 [하스스톤] 안녕로봇이 정규전에 편입?? [63] 이진아12027 16/07/23 12027 0
59642 [오버워치] 승자결정전에 대한 개선안? [31] pgr-2925138797 16/07/23 8797 0
59641 [LOL] 나이스게임TV 김경우 캐스터(aka.에스퍼란자) 트위터 발언 논란 [207] 키토35864 16/07/22 35864 3
59640 [오버워치] 데이터로 보는 팀별 실력 [8] SC211252 16/07/22 11252 0
59638 [오버워치] 아나 성우 논란 처음 제기한사람이 메갈 유저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24] 홀리워터13528 16/07/22 13528 0
59637 [스타1] 새로운 패치가 예정되어있다고 합니다. [103] 열역학제2법칙18387 16/07/22 18387 2
59636 [LOL] 중국 LSPL에 난리가 났네요. [86] 코우사카 호노카17231 16/07/22 17231 5
59635 [기타] 다이렉트 게임즈 2016 여름세일 [39] 샨티엔아메이10527 16/07/22 10527 0
59634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블리즈컨을 향하여" [20] 은하관제6292 16/07/22 6292 4
59633 [오버워치] 아나 성우 이선주 씨가 사과문을 올렸습니다. [47] 캬옹쉬바나12207 16/07/21 12207 2
59630 [LOL] 안녕하세요. 후추통(KarLDeath)입니다. [23] 후추통8417 16/07/21 8417 31
59629 [LOL] 챌린저스 코리아 포스트 시즌 / 이벤트 안내 [15] 빛돌v5854 16/07/21 5854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